오피니언 사설

[사설] 식품신뢰 제고에 앞장서는 풀무원

풀무원이 식품 재료에 대한 모든 정보를 공개하는 완전표시제를 실시한 것은 식품산업의 질과 신뢰도를 높여 안전한 먹거리 문화를 조성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의 건강과 직결되는 식품 재료의 정보 공개는 꾸준히 제기됐으나 식품업체는 이를 꺼려왔다. 마음 놓고 먹을 수 있는 먹거리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다른 식품업체도 풀무원의 결정에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풀무원의 이번 결정은 정부가 9월부터 시행하는 완전표시제를 앞당긴 것으로 기준과 내용은 오히려 정부의 요구 보다 더 엄격하다. 정부는 원재료와 영양성분 등의 표기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풀무원은 한 발짝 더 나아가 첨가물ㆍ영양성분ㆍ알레르기 유발 물질과 주의할 점은 물론 1일 평균 섭취량까지 공개해 영양과다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그야말로 완전표시제를 지향하겠다는 것이다. 식품이 장독대와 어머니 손 맛을 떠나 공장으로 옮겨감에 따라 식품에 대한 불안감은 높아 만 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라면ㆍ김치ㆍ만두파동 등에 이어 최근엔 과자의 아토피 유발 가능성까지 제기돼 무얼 먹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푸념이 절로 나온다. 정부가 완전표시제를 실시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지만 완전한 먹거리 문화 정착은 법 보다도 식품업체의 양식에 달려 있는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먹거리는 인간 삶의 기본이다. 불량 및 유해식품 제조를 인간 생명을 좀 먹는 악질 범죄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선진국에선 이를 만든 사람은 시장에서 영원히 추방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우리는 문제가 되면 떠들썩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흐지부지된다. 우리도 불량식품 등을 만든 사람 및 업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다시는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게 마련이다. 풀무원의 정보공개 결정은 이에 부응해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 해소에 앞장섰다는 점에서도 평가할 만 하다. 정부도 완전표시제 실시를 계기로 불량 및 유해식품 추방의지를 새롭게 다져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