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구제역 대비 시스템 정비 시급하다

지난 1일 설레는 마음으로 고향으로 돌아가는 귀성객들께 서울역에서 당 지도부와 함께 귀향인사를 마치고 고향을 향해 출발하니 자정이 다 돼서야 부안 톨게이트에 도착했다. 톨게이트 앞에 설치된 방역초소가 귀성객을 애처롭게 반겨줬는데 설 전날, 자정이 다 된 시간에도 방역에 여념이 없는 공무원들을 보니 전국을 휩쓴 구제역 대재앙에 맞서 전남ㆍ북과 제주를 사수하려는 절박함이 온 몸으로 느껴졌다. 2002년 구제역을 성공적으로 퇴치해 국제기구로부터 청정국으로 평가받던 우리나라에서 현 정부 들어 구제역이 세 번째로 발생했다. 지난해 11월28일 경북 안동에서 최초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8일 현재 총 320여만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됐고 발생지역 또한 9개 시ㆍ도, 69개 시ㆍ군ㆍ구로 늘어났다. 지난 명절기간에는 국내 축산자원의 보고로 알려진 충남 국립축산과학원과 경남 김해에 이어 부산에서까지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번 구제역 대재앙에 대해 국경검역 및 초동 방역의 실패, 백신 접종시기의 판단 미흡 등 정부의 대응에 아쉬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구제역 발생 40여일이 지나서야 첫 관계 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신년 연설에서 구제역에 대해 한마디 언급도 하지 않은 것은 구제역 대재앙에 대해 정부가 심각성을 깨달은 점이 부재하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게다가 구제역 사태의 비용을 아까워하며 '집주인이 도둑 잡을 맘이 없어 축산농의 도덕적 해이가 심하다'고 한 정부 경제담당 수장의 발언은 자식을 잃고 신음하는 축산농가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 사료값 폭등, 생산원가 상승 등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농촌에서 축산업을 지키며 생계의 기반으로 삼아온 축산 농가들이 느끼는 상실감은 소와 가축을 매몰하는 비용 이상이다. 자식을 묻는 부모의 심정이 이들과 다르지 않다. 그렇기에 정부와 정치권은 국민과 힘을 모아 사상 유례 없이 전 국토에서 전 국민이 함께 감내하는 구제역 대재앙이 다시 출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을 정비하라는 민심에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