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부자들 "PB 못믿겠다"

투자예측 빗나가 수익률 떨어지자 그룹 만들어 직접 투자결정 급증<br>강남 자산가들 전직 금융맨 고용 암암리에 '패밀리 오피스' 운영도


대형 시중은행 프라이빗 뱅커(PB)인 나경민(가명) 팀장. 요즘 그는 부쩍 타행의 PB가 작성한 투자 제안서를 들이미는 고객 때문에 진땀을 빼는 일이 잦다. 국내 부유층 1인이 평균 거래하는 금융회사는 2.7곳. 투자 결정시 거래은행 2~3곳의 PB에게 제안서를 각각 받아본 뒤 이를 비교 분석해달라고 의뢰하는 고객이 크게 늘었다. 과거처럼 주거래은행의 PB에게 모든 자산운용을 일임하는 부유층들은 드물다. PB 의견은 '참고'만 할 뿐 최종 결정은 스스로 내리는 경우가 대다수다.

부유층들의 투자 패턴이 바뀌고 있다. 정보 습득 채널이 다변화하면서 부유층의 PB 활용방식도 변하고 있다. 특히 최근 PB들의 수익률 전망이 크게 어긋나는 상황이 속출하면서 '부유층이 더 이상 PB를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는 시대'가 왔다는 자조 섞인 얘기가 흘러나온다.


25일 금융계에 따르면 최근 부유층의 가장 큰 투자패턴 변화는 '부유층 스스로가 정보수집에 나섰다'는 점이다. 시중은행의 한 PB는 "부유층이 더 이상 집이나 사무실에 가만히 앉아 PB가 제공하는 투자 정보에만 귀 기울이지 않는다"며 "2~3명씩 그룹을 지어 각자의 PB가 제공하는 투자정보를 공유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을 중심으로 '패밀리 오피스'도 암암리에 운영되고 있다. 초우량 자산가 개인이나 또는 2~3명의 자산가들이 모여 금융사 퇴직 직원을 고용, 패밀리 오피스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기존 금융사 PB들이 한꺼번에 수십명의 자산을 관리하는 데 반해 패밀리 오피스에서는 고용주만을 위한 투자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간혹 금융사의 자산운용 수익률보다 좋은 성과를 내는 경우도 있다. A시중은행의 PB는 "개인적으로 패밀리 오피스를 통해 수백억원의 자산을 운영하고 있는 한 고객은 지난해 패밀리 오피스 직원에게 10억원 플러스 알파의 보수를 지급했다고 말해 내심 놀랐던 적이 있다"고 말했다.


PB센터를 이용하는 부유층의 경우 투자 성향은 더 치밀해지고 꼼꼼해졌다.

관련기사



PB에게 단순히 개별 상품 추천을 요구하는 데서 벗어나 전체적인 투자포트폴리오와 조화, 자산배분 비율, 투자 원칙 등 종합 분석을 요구한다. 시중은행의 한 PB는 "수천만원을 투자해도 제안서를 여러 장 요구하는 고객들이 적지 않다"고 토로했다.

투자 패턴 변화에는 PB들의 저조한 수익률이 영향을 미쳤다. 경기침체 및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며 PB들의 예측이 엇나가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금(金) 테크'다. 올 초 대부분 PB들은 금투자를 권유했다. 하지만 최근 금값은 1돈당 20만원까지 떨어졌다. 연초(25만원) 대비 수익률이 20%나 쪼그라든 셈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골드뱅킹을 운용하는 PB들이 전략적으로 비과세 이슈를 마케팅에 활용, 금 판매에 열을 올렸다"며 "PB들이 고객 수익률 대신 해당 금융회사의 수익을 먼저 고려해 고객에 접근한다면 PB들에 대한 신뢰도는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