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따른 국내 건설경기 하락으로 최근 중견 및 중소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 사례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건설협회 등록업체의 5%를 겨우 넘는 대형업체들이 해외시장 계약액의 90% 이상을 `싹쓸이'한 것으로 나타나 해외 시장에서도 업체간 `양극화' 현상이 심각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소업체의 해외건설 계약 건수 및 진출 국가는 2000년 12건에 10개국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7월까지 112건에 27개국으로 5년동안 큰 폭으로 증가했다.
계약 건수의 증가와 함께 중소업체들이 진출하는 국가도 꾸준히 다변화돼 전통적인 진출국인 중동과 아시아에서 작년부터는 중앙아시아, 러시아, 아프리카 등으로 진출 지역이 크게 다양화되는 추세다.
그러나 1995년 7월부터 작년 6월까지 중소업체들의 수주 실적은 건수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수주 중 41.6%를 차지하지만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5.9%에 불과한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당 평균 규모를 보면 이 기간 우리 업체들이 수주한 해외 공사의 평균규모가 4천920만 달러이고 대형 업체들이 수주한 금액이 7천930만 달러인 반면, 중소 건설업체들이 수주한 공사는 700만 달러에 불과했다.
작년 11월 현재 해외건설협회 등록업체 402개사 중 대형건설사는 22개사(5.5%)에 불과하지만 소수의 대형건설사들이 해외공사 수주를 독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소업체의 해외시장 진출이 건수는 늘어나지만 수주금액은 소액인 형태가 지속된다면 해외시장 진출이 과다한 비용 유발로 업체들의 수익성에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중소업체들의 진출 분야를 보면 설계 등 용역이 전체 수주의 40% 이상을차지하고 있어 토목이나 건축 등 일반건설업의 진출은 여전히 소수에 그치고 있는실정이다.
건산연은 "중소업체의 해외진출 지원제도는 경제개발협력기금과 해외건설협회가제공하는 해외시장개척자금 밖에 없다"며 "그나마 이 제도들도 재정부족으로 실효성이 의심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건산연의 김민형 연구원은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중소업체들은 현지 정부와 업체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현지 경험이 있는 업체와의 동반진출 등을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하며, 정부도 재원 조달을 통해 해외시장 개척을 실질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