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年 소득 억대 농가 2만가구로 늘린다

한ㆍ미 FTA 발효 앞두고 다양한 농가지원책 발표

전대경(왼쪽부터) 미듬영농조합법인 대표, 김문수 경기도지사, 고유찬 스타벅스코리아 영업담당상무가 13일 평택 농업기술센터에서‘경기미 가공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경기도가 억대 농가소득 2만 가구를 육성하고 도 농산물 부적합율 제로화 추진을 벌이기로 했다. 경기도내 주요 대기업들도 구내식당 식자재로 경기도 농산물을 우선 구입하기로 하는 등 도내 농가 살리기에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도는 생산자와 소비자, 지역경제를 살리는 농정이란 뜻을 담은 ‘웰빙 농정’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도내 농가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농산물 검사 과정 강화, 농산물 품질 향상, 귀농 인구 유치를 통한 농촌인구 증대 방안 등을 제시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13일 평택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찾아가는 현장 실ㆍ국장 회의를 갖고 FTA발효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도내 농가지원을 위해 이 같은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김선기 평택시장과 삼성전자, LG전자, 기아자동차 등 도내 7개 대기업 기업관계자와 경기도청 주요 실ㆍ국장들이 모두 참석했다.

도는 우선 경기도 농산물의 부적합 비율을 0%까지 낮춘다는 목표 아래 상추와 열무,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34개 농축산물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소비자시민모임 경기지부, YWCA경기협의회 등 소비자 단체와 함께 연간 1회 이상 도내 360개 농축산물 생산자 단체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 경기도가 인증하는 G마크 농산물이 부적합 판정을 받을 경우 최대 10억 원까지 보상하는 소비자 안심 보상제도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연간 소득이 억대를 넘는 4,800 가구의 농가를 2만 가구까지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는 오는 2017년까지 시설채소 생산자 단체 54개소를 대상으로 품질개선사업을 벌이는 한편 현재 60% 수준인 한우 1등급 비율을 2017년까지 80%까지 높이는 등 축산농가의 수준을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농촌인구 증가계획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현재 2만 명에 이르는 도내 귀농ㆍ귀촌 인구를 오는 2025년까지 10만 명으로 늘리기로 하고 농가주택 건축이나 구입 시 자금지원, 귀농 교육 등을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안정적인 농가소득원으로 주목 받는 친환경급식 확대방안도 추진된다.

도는 3,700개에 이르는 수도권 소재 학교의 70% 수준인 2,500개교에 경기도 농축산물을 공급하고 광역학교급식 지원센터를 설치하는 등 경기 농업을 수도권 학교급식의 핵심 생산기지로 변모시킬 방침이다.

도는 이날 회의에 앞서 평택소재 미듬영농 조합법인 제1공장에서 김 지사, 이석구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대표, 쌀 가공업체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미(米) 가공제품 판매확대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스타벅스 코리아는 400여개에 이르는 국내 스타벅스 매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 50여 개국 1만7,000개 스타벅스 매장에 경기미로 만든 라이스 칩과 라이스 바 같은 쌀 가공제품 판매를 추진하기로 했다.

도내 대기업들도 경기도 농가 살리기에 나섰다.

김 지사와 삼성전자 등 7개 도내 대표기업은 이날 경기도 농축산물의 우선 구매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협약에 참여한 도내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기아자동차, 하이닉스반도체, 현대자동차그룹 연구개발본부, 르노삼성자동차중앙연구소 등 7개 업체로, 이들 기업은 사내 식당의 식자재로 경기도에서 생산되는 농축산물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사내에 경기도 농축산물 판매를 위한 상설판매장 설치 및 정기적인 직거래 장터 등을 운영하기로 했다.

도는 대기업 사내식당을 운영하는 삼성에버랜드, 아워 홈, 현대 그린푸드 등 외식업체와도 경기도내 농축산물의 우선 구매를 놓고 협의 중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