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산자부 "연말께 캡슐형 내시경 상용화 가능"

산자부 "연말께 캡슐형 내시경 상용화 가능"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올해 연말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캡슐형 내시경이 국내 최초로 상용화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는 21세기 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지능형 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이 1999년 말부터 6년 간 약 4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해 연구개발을 진행한 캡슐형 내시경이 올해 연말께 시판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작은 로봇'을 뜻하는 '미로'로 명명된 이 캡슐형 내시경은 알약 크기(지름 11㎜, 길이 23㎜)의 초소형 비디오 캡슐로 인체 내 소화기관에서 8∼11시간 동안 10만화소 화질 영상을 초당 1.4~ 2.8장을 촬영해 몸 밖에 부착된 수신장치로 전송해준다. 이용자는 캡슐을 삼킨 뒤 8∼11시간 지나서 몸 밖의 수신장치를 의사에게 전달하기만 하면 된다. 이재훈 산자부 산업정책본부장은 "이달 말께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임상허가를 받아 2∼3개월간 세브란스병원에서 임상실험을 거친 뒤 오는 11월께 인트로메딕사를제조사로 시판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태송 사업단장은 "초기 제품은 소화기관 중 소장 내시경 검진을 대체할 수 있다"며 "대장, 위장 등으로 검진 영역을 넓히고 치료 기능을 추가하는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로'는 2002년 미국의 기븐 이미징사에서 개발.출시한 '필캠' 제품보다 우수한 성능과 가격경쟁력을 갖췄다고 산자부는 강조했다. '필캠'은 영상화질이 5만화소로 '미로'의 절반 수준이고 실시간 영상전송도 안되며 가격도 약 130만원 안팎으로 미로보다 훨씬 비싸다고 산자부는 설명했다. 제조사인 인트로메딕의 심한보 대표는 "시판 초기 가격은 소비자부담 기준으로약 40만원대가 될 것"이라며 "좀 더 보편화하면 약 25만원 정도로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미로' 제품이 내수는 물론 수출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산자부는 '미로' 이외에 ▲ 복잡한 형상과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제품을1회의 가공을 통해 최종 형상으로 만드는 '일체화 성형기술'▲ 이리저리 휘어지는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무인 항공기인 '스마트무인기' ▲ 지능로봇 등을 개발하고있다. 이중 노인복지용과 장애인용 로봇은 오는 2008년에 개발될 전망이라고 산자부는 덧붙였다. 입력시간 : 2006/06/15 11:2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