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일반 휴대폰 차별화된 '한글 마케팅'

스마트폰 열풍 맞서 '신입사원' '몽글몽글'등 독특한 제품명


'갤럭시S, 옵티머스Q, 시리우스' vs '신입사원, 몽글몽글'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열풍'에 밀려 관심이 낮아진 일반휴대폰 시장 공략을 위해 한글 제품이름으로 도전장을 던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팬택은 다음달 KT를 통해 출시 예정인 휴대폰의 이름을 '신입사원(IM-U660K)'으로 정했다. 신입사원은 풀터치 방식의 일반휴대폰(피처폰)으로, 스마트폰 구입이 부담스러운 사회초년생을 겨냥했다. 명함 인식, 단체문자 전송, 인맥관리 서비스 등의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하며 무선랜을 탑재해 인터넷 접속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KT테크도 이달 중 10대 청소년을 겨냥한 '몽글몽글(EV-F500)'을 선보인다. 중고교생의 활용도가 높은 문자메시지를 특화한 모델로, 최대 1만개의 문자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덩이진 물건이 말랑망랑하고 매끄러운 느낌'이라는 제품명처럼 한 손에 쏙 들어오는 디자인을 채택했다.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이 잇따라 일반휴대폰에 독특한 이름을 붙이고 나서는 이유는 스마트폰과의 차별화된 마케팅이 필요하기 때문. 그 동안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은 일반휴대폰의 제품명으로 '초콜릿', '샤인', '쿠키', '롤리팝' 등 영어로 된 제품명을 선호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말 아이폰 출시를 전후해 시장의 관심이 스마트폰으로 집중되면서 일반휴대폰은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칫 평범한 영어 제품명을 선택했다가 시장의 관심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체 휴대폰 판매량의 30%에 육박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휴대폰 비중이 높다는 점도 큰 이유다. 반면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고급스럽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는 이유로 여전히 영어 제품명이 인기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시리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LG전자도 '옵티머스' 시리즈로 스마트폰 시장에 뛰어들었다. 팬택은 시리즈명 대신에 '시리우스', '이자르' 등 별자리 이름을 붙이고 있다. 팬택 관계자는 "스마트폰에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일반휴대폰의 마케팅을 극대화하기 위해 독특한 제품명을 골랐다"라며 "향후 시장의 반응에 따라 한글 제품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