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육군, DMZㆍ북한지역 유해 발굴자료 수집

20일부터 7개 지역서 전사자 유해발굴 시작

육군, DMZㆍ북한지역 유해 발굴자료 수집 20일부터 7개 지역서 전사자 유해발굴 시작 관련기사 • 국군 전사자 유해발굴 0.8% 그쳐 한국전쟁 당시 비무장지대(DMZ)와 북한지역 전투에서 산화한 국군 전사자 유해발굴에 필요한 증언과 자료 수집이 올해 처음으로시작된다. 육군은 10일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DMZ와 북한지역에서 펼쳐질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에 대비해 관련 증언과 자료를 올해 처음으로 수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육군은 올해 3단계에 걸쳐 전사자 유해가 대량 묻혀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 대한 탐사작업에 나설 계획이며 마지막 3단계(11~12월)에서 DMZ 및 북한지역에서벌어진 전투현황자료를 수집하고 증언을 청취해 유력한 지역을 선정해 보존한다는것이다. 육군 관계자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이 정례화해 군사신뢰구축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되면 이들 지역에서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는 문제를 의제화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그 때를 대비해 증언과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3월까지 진행되는 1단계에서는 민간기업과 행정기관, 유관단체와 긴밀히 협조해 유해발굴 사업을 홍보하고 주민제보를 접수하며 2단계(4~10월)에서는 예비군중대장을 활용해 집중적인 탐문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특히 2단계에서는 탐문활동 결과를 매월 취합해 유해가 대규모로 묻혀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는 해당 사단 단위로 탐문팀을 편성, 발굴지역을 압축할 계획이다. 마지막 3단계(11~12월)에서는 압축된 지역을 정밀답사해 자료집으로 남기는 한편 DMZ와 북한지역의 매장지에 대한 증언과 자료를 수집해 별도로 보존하기로 했다고 육군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육군은 이달 20일부터 오는 10월13일까지 경북 칠곡 등 전국 7개 지역에서 올해 유해발굴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육군은 올해를 '전사자 유해발굴 집중 확인의 해'로 정하고 적극적인 탐문과 자료 수집에 나서는 한편 유가족의 채혈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D/B)하는 ' 전사자 신원확인 정보체계'를 개발, 6월부터 실용화할 계획이다. 한편 그동안 육군이 맡아온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내년에 국방부 산하에 '국방유해발굴 감식단'이 창설되면 국방부로 이관된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입력시간 : 2006/03/10 06: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