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자체, 물류대란 비상체제 돌입

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의장 김종인)가내주 중으로 전면 총파업에 돌입키로 결의함에 따라 수출입 화물의 물류 중심지인부산을 비롯, 전국 지자체가 대책마련과 함께 물류대란을 막기 위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부산시는 20일 오전 김구현 행정부시장 주재로 긴급 유관기관 회의를 열어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기관별 조치사항을 점검하는 등 비상사태에 대비하는 한편 조만간정부측에 유류비 환급금을 ℓ당 210원에서 700원대로 올려줄 것을 요구키로 했다. 시는 화물연대가 파업에 들어갈 경우 단계별 대응 매뉴얼에 따라 시위예상 지역경찰력 배치, 대체운송수단 확보, 군수송장비 투입 등의 조치를 취해나갈 방침이다. 특히 내달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화물연대조합원들의 과격행위가 발생할 경우 대외신인도 추락은 물론 부산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초기부터 엄정 대처키로 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신선대부두 등 부산항 일대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비조합원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거나 APEC 관련 시설 점거에 나설 경우 강력 저지키로 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부산항만공사, 철도공사, 항만물류회사 등이 참여하는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고 항만시스템을 비상운영체계로 전환, 물류소통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부산해양청은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하면 부산항을 통해 반출입되는 화물 가운데 철도수송화물과 연안운송화물의 비율을 높이기로 했다. 부산에서 경기도 의왕으로 가는 컨테이너 운송화물열차를 현재 하루 625량에서675량으로 늘리고 부산-인천간 연안 컨테이너선의 운항을 1항차 늘려 파업손실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일 경우 군 소유 트레일러 80대, 부두내에서 운항하는 야드트랙터 300대를 확보해 부두밖 장치장으로 화물을 빼내고 부두간 환적화물 수송에 1천-3천t급 예선과 부선 19척을 투입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19일부터 도청에 비상대책상황실을 설치.운영하고 파업에 돌입할 경우자가용화물차량 707대(8t이상)에 대한 유상운송허가를 일시 해제해 화물운송에 나서도록 할 계획이다. 또 화물운송 다단계행위(재하청)에 대한 단속을 벌이고, 화물차 파업으로 인해도로변에 화물차를 방치하는 경우에 대비해 레카차와 열쇠업자를 확보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경남도는 2003년 파업때처럼 일부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파업 불참 노조원 차량이나 비노조원 차량에 대해 타이어 펑크, 유리창 파손, 엔진 설탕넣기 등의 행위가재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경찰과 함께 이 같은 불법행위에 철저히 대비키로 했다. 수출입 화물 주처리지인 창원공단과 마산항의 주진입로인 창원터널이나 남해안고속도로 등지에서 노조원들이 차량을 이용한 도로 점거에 나설 경우 즉각 경찰력을동원해 견인조치키로 했다. 충북도는 파업에 들어갈 경우 제천.단양 지역의 시멘트를 운송하는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운송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고 비노조원 중심으로 운송대책을 마련하는 등 다각적인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이 2천800명에 달하는 포항 등 경북지역의 기업체들은 노조원들의 운송거부가 시작되면 수출입화물운송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고 자구책 마련에 돌입했다.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휴대전화의 경우 컨테이너가아닌 일반 화물차량을 이용해 항공기로 수출하기 때문에 당장은 타격이 없을 것으로보고 있다. 그러나 화물연대 소속의 컨테이너를 이용해 온 네트워크사업부문은 제품 운송에어느 정도 차질이 예상됨에 따라 비노조원을 통한 컨테이너 차량 확보에 나서는 등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LG전자 구미공장 역시 선적량 대부분이 한 달 이후에 판매할 물량이어서 파업으로 인한 타격이 크지 않지만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해 컨테이너 확보에 나섰다. 울산지역은 일반화물이나 카고트럭의 경우 파업에 참여하는 수가 적을 것으로보여 물류 이동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탱크로리나 특수액화화물차량의경우 화물연대 가입차량이 250여대에 달해 피해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있다. 이에 따라 SK나 에쓰오일 등 정유업계에서는 화물연대 미가입 차량 등을 통해대체차량을 확보하고 해당 화물업체들을 대상으로 파업 참여를 줄일 수 있도록 요청하는 등 대책마련에 분주하다. 전남 광양항의 경우 여수지방해양수산청 주최로 컨테이너부두공단 터미널 운영사 등이 참가한 가운데 19일 오후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파업돌입시 합동대책상황실을 운영하고 노조원들의 비노조원 운행차량에 대한 운송방해 행위에 등에 경찰과 함께 적극 대처키로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