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대처리즘' 용어 고안 문화이론가 스튜어트 홀 별세


1970년대 문화 연구의 지평을 넓히며 ‘다문화주의 대부’로 불려온 문화이론가로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의 등장을 인식하고 ‘대처리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낸 스튜어트 홀이 별세했다. 향년 82세.

1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과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식민지 시절인 1932년 자메이카에서 태어난 홀은 1961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으로 건너가 영문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본토의 차별에 직면하면서 박사학위를 포기하고 정치와 문화 연구에 투신했다.

홀은 1960년 역사학자 E.P. 톰슨 및 문화학자 레이먼드 윌리엄스와 함께 신좌파를 대표하는 잡지 ‘신좌파 리뷰’(New Left Review)를 창간해 영국 사회에 수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영국 최초의 문화연구소인 버밍엄대 현대문화연구소에서 활동하면서 인종과 성, 섹슈얼리티(sexuality), 정체성, 인종적 선입견과 미디어 등 다양한 주제로 저작을 발표하며 문화 연구의 영역을 하나씩 개척해나갔다.

관련기사



1979년 마거릿 대처 총리가 취임하기 몇 달 전에는 자신이 발간에 깊이 관여하던 이론 잡지 ‘마르크시즘 투데이’(Marxism Today)를 통해 ‘대처리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내며 비판했다.

당시 좌파 사회에서는 대처를 주부로 깔보는 분위기였지만 홀은 새 시대로의 진입과 좌파의 실책이라는 관점에서 대처의 등장을 알아본 얼마 안 되는 이들 중 하나였다.

홀은 1979년부터 오픈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97년 은퇴한 이후에는 대중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다.

2년 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홀은 정치 일반, 특히 노동당에 대한 회의를 표했다. 당시 홀은 “좌파는 곤경에 빠졌다. 아이디어도, 독립적 분석도, 따라서 비전도 없다. 그저 시류를 따라간다. 좌파는 사람들이 세상을 보는 관점을 바꾸는 정치, 교육의 효과가 있는 정치의 감각을 잃어버렸다”고 비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