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와대 ‘총선 올인’ 차질?

청와대가 4월 총선에 출마할 것으로 알려진 문희상 비서실장과 유인태 정무수석의 후임자를 구하지 못해 총선 올인(All-In)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총선에 모든 역량을 투입해 정치적 기반을 확실하게 구축하고 싶어하나 참여정부의 인재풀이 워낙 협소해 전력투구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분석은 총선 출마를 위한 공직 사퇴시한(15일)이 불과 며칠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출마자로 거론되는 참모들이나 관료들이 우왕좌왕 아직도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과 후임자들의 윤곽도 오리무중이라는 데서 비롯된다. 청와대는 무엇보다 문 실장의 역할을 대신해 줄 만한 인사 찾기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자로 첫손가락에 꼽히는 김병준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을 비롯해, 이헌재 전 재정경제원 장관, 이종오 전 정책기획위원장, 김우식 연세대 총장, 박봉흠 청와대 정책실장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말만 오갈뿐 어느 누구에게도 힘이 실리지 않고 있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비서실장 후임은)감(感)을 잡을 수 있는 힌트도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유 수석은 충북 제천 출마를 검토하다가 최근 서울 도봉 을로 마음을 바꿨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며칠 더 두고보자 ”며 출마사실조차 확인해 주길 꺼리고 있다. 유 수석의 후임자로 몇몇 국회의원들이 거론되고는 있지만 안개속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들과 함께 총선 올인용으로 투입될 것으로 알려진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 역시 “제가 나가서 되겠습니까 ”라며 한사코 총선 출마를 거부하고 있다. 정치권은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의 총선 올인 전략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이유가 출마 당사자들의 의사보다는 빈약한 인재 풀에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쓸만한 대타를 못 찾고 있다는 얘기다. <박동석기자 everest@sed.co.kr>

관련기사



박동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