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모 3명중 2명이 30세 이상 '고령'

작년 64%…5년새 2배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산모 3명 가운데 2명은 30세 이상 산모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 산모비율은 최근 6년간 꾸준히 늘었으며 지난 99년 30.6%에 비해 5년새 2배 이상 증가했다.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는 지난해 전국 시ㆍ도별로 3만명의 산모를 표본으로 추출, ‘산모의 연령별 출생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30세 이상 상모비율이 64.0%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30세 이상 산모의 비율은 1999년 30.6%, 2000년 39.8%, 2001년 50.2%로 처음 절반을 넘어선데 이어 2002년 53.8%, 2003년 63.9%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35~39세 산모의 비율도 급증, 1999년 4.5%, 2000년 5.7%, 2001년 6.3%, 2002년 6.5%, 2003년 12.6%, 2004년 13.7%로 5년새 3배 이상 늘어났다. 반면 20~29세 산모의 비율은 꾸준히 줄어들어 1999년 69.1%, 2000년 59.9%, 2001년 49.6%, 2002년 46%, 2003년 35.9%, 2004년 35.8%로 각각 집계됐다. 여아 100명당 남아 출생성비를 조사한 결과는 첫째아이는 106.5명, 둘째아이는 108.5명인데 비해 셋째아이 이상은 131.1명으로 나타나 ‘아들낳기 출산’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유 조사에선 모유 수유비율이 99년 10.8%에서 2000년 11%, 2001년 16.3%, 2002년 6.5%, 2003년 16%, 2004년 39.5%로 집계됐다. 협회 관계자는 “30세 이상 ‘고령’ 산모가 늘고 있는 것은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인데다 직장 여성이 늘어나 출산을 늦추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