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산업 관계자들은 `국민의 정부`들어 급성장한 벤처산업에 대해 DJ정부 경제정책의 `꽃`이자 `애물단지`라는 양극단의 평가를 내리고 있다.
실제로 벤처산업은 초기에 신고용 창출, 경제활성화, 수출증대의 선봉이라 불리며 국가경제의 새 희망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벤처기업 CEO 및 벤처캐피털의 도덕적 해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고, 벤처기업과 정치인들의 부정부패 고리가 드러나면서 벤처기업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땅에 떨어졌다.
특히 벤처거품이 빠지면서 코스닥시장의 주가는 연일 하락세를 면치 못했고, 수익모델을 찾지 못하는 벤처기업들은 속속 문을 닫기 시작했다. 또한 코스닥시장 등록 자체가 심사강화로 어려워지자 벤처캐피털은 투자를 꺼려 벤처기업의 자금난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제 새 정부가 탄생한다. 위기상황에 몰린 만큼 벤처산업 관계자들이 노무현 정권에 거는 기대도 남다르다. 응급실에 입원한 우리나라 벤처산업을 살릴 묘약은 과연 무엇인가.
◇시장경쟁체제로의 체질개선이 시급= 벤처산업 관계자들은 벤처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코스닥 시장의 부실기업 퇴출 확대, 지원 위주의 정부정책 탈피 등 시장논리에 따른 경쟁체제 도입을 통해 벤처기업의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즉 벤처기업을 무작정 육성하는데서 벗어나 시장기능을 살려 옥석을 가려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재 코스닥시장에는 800개가 넘는 기업들이 거래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퇴출된 회사는 손에 꼽을 정도에 불과하다. 한 코스닥등록 벤처기업 사장은 "어떻게 해서든 코스닥시장에 등록해 한몫 잡고, 주가조작 등을 통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기업들이 코스닥에 발을 붙이고있는 한 코스닥시장의 부활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불특정다수의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역시 고사 직전인 기업들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것에 불과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따라서 기업의 성장과정에 따라 지원정책을 세분화하고, 정부의 직접지원을 줄이는 대신 민간투자를 촉진해서 시장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기술 중심의 글로벌 벤처 육성해야= 지난해 해외경기의 불안으로 국내수출 증가율은 5%대로 예년에 비해 다소 둔화됐다. 하지만 벤처기업의 수출증가율은 28%를 넘어서 대기업, 중소기업을 앞질러 1위 자리를 지켰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높아져 지난해 10월까지 총 수출금액 1,325억 달러 중 벤처기업이 56억 달러를 수출해 전체의 4.24%를 차지했다. 이는 2000년의 2.82%, 2001년의 3.47%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다. 벤처기업이 수출의 새로운 엔진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세원텔레콤, 어필텔레콤 등 휴대폰 관련 업체들이 지난해 수출벤처기업 톱10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들이 기록한 수출실적이 전체의 18%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편중되어있다. 또한 수출지역의 80%가 중국에 집중돼 있다는 것도 문제다.
이에 따라 새 정부는 기술중심의 수출위주의 벤처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판로 다변화를 위해 해외마케팅 및 현지 시장조사에 나서야 한다.
◇피가 흘러야 벤처생태계가 산다= 벤처생태계에 투자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 벤처캐피털 관계자들은 이를 위해서는 벤처기업에 투자한 벤처캐피털이 해당 기업의 경영에 적극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M&A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비록 올해 119개 벤처캐피털이 9,253억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혀 지난해 보다 3,601억원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경영참여확대, M&A활성화가 선결 조건이라는 말이다.
고학근 벤처캐피털 협회 부회장은 "벤처캐피털의 투자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벤처기업은 물론 벤처캐피털 역시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라며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미국처럼 투자한 기업의 경영전략, 구조조정, 기술개발 등에 대해 벤처캐피털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어야 하고, M&A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형 기자 kmh204@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