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야권통합 토론회, 여전한 민주당-진보정당 차이

민주당과 타 야당 사이 견해 차이 노출<br>민주당 내부 이견도 나타나

민주당 야권통합특위와 민주정책연구원은 13일 국회에서 야권통합 토론회를 열었으나, 민주당과 진보정당ㆍ시민사회 사이 여전한 견해차를 다시 확인했다. 손학규 대표는 축사에서 “(야권이) 따로 가야 할 정도로 차이가 많지 않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말했고, 정동영 최고위원도 “더 이상 꾸물거려선 안 된다”며 “민주당이 기득권을 과감히 내놓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야권통합특위 위원장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기조강연을 통해 “민주당이 보편적 복지 노선을 확립하는 등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며 “대중적 신뢰가 늘어가면서 진보정당의 불신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야권 통합은 각 정파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연합당”이라며 “통합을 위한 연석회의가 급하면 정책연합을 선행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고 통합 논의에서 이전보다 전향적 모습도 보였다. 발제자로 나선 박순성 민주정책연구원장은 “정권교체를 위한 가장 확실한 대안은 야권의 대통합을 통한 단일정당 형성”이라며 “민주당은 지금의 민주당으로 집권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리고 ‘과감하고 담대한 결단’을 해야 한다”고 고언을 던지기도 했다. 진보진영은 지난 한ㆍ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 비준이나 KBS 수신료 합의 과정에서 보여준 민주당의 태도에서 의구심을 드러냈다. 백승헌 ‘희망과 대안’ 회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통합을 논의할 조건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다”며 “야권통합의 경로와 방법을 논하기 앞서 민주당의 신뢰 구축이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진 전 진보신당 부대표는 “당내에서 통합하자고 하면 미쳤다고 한다”며 “민주당은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장 민주당 내부에서도 야권통합에 대한 의견이 갈린다. 진보정당과 통합해 진보적 색채를 강화하기보다 중도 성향 유권자들을 공략해야 한다는 이들도 당내 적지 않다. 박주선 최고위원이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이 통합과 연대를 위해 좌향좌하는 것이 아닌 진보정당이 정책적으로 민주당의 중도적 정책으로 유연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그럴 때)민주당은 통 큰 양보와 희생을 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이러한 기류를 반영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