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간 배아세포 주입 ‘키메라쥐’ 국내탄생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를 수정 후 4일 정도 된 생쥐의 수정란에 주입한 `유전자 혼재(chimeraㆍ키메라)` 생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태어났다.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소장 박세필)는 최근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자궁착상 단계의 생쥐 수정란(배반포기 배아)에 주입해 `키메라 배아`를 만든 뒤 대리모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으로 11마리의 `키메라 쥐`가 태어났다고 28일 밝혔다. 이 가운데 7마리는 지난 6일, 4마리는 27일 각각 태어났다. 연구소는 새끼 생쥐에서 인간유전자가 발현된 것을 잠정 확인했으며, 1개월 정도 성장한 뒤 해부 등을 통해 보다 진전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소가 생쥐의 수정란에 주입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등록한 것이며, 쥐의 배아세포에 제대로 주입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형광발현유전자(EGFP)를 붙였다. 키메라 배아는 6시간 정도 배양한 뒤 4마리의 생쥐 대리모 자궁에 마리당 8∼12개를 이식했다. 박세필 소장은 “인간배아줄기세포가 생쥐의 췌장ㆍ신장 등 어떤 장기에서 발현되는지, 이 과정에 어떤 유전자가 작용했는지 등을 밝혀내면 각종 장기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간배아줄기세포를 특정 장기로 집중 분화시키는 기술을 확보, 당뇨병 등을 치료할 세포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

관련기사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