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최도술씨 `입`에 초미관심

검찰은 14일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소환을 시작으로 SK 비자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정치인 3명을 이번주 잇따라 소환 조사하는 등 `SK비자금` 수사를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재신임` 발언으로 SK비자금 파장이 정치권 등으로 확대됐지만 검찰로서는 원칙대로 수사를 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년 이상 노 대통령의 `금고지기` 역할을 해온 것으로 알려진 최도술씨의 진술 여부에 따라서는 수사의 불똥이 여야의 대선자금으로까지 튈 소지도 있어 검찰 안팎의 관심이 쏠려있다. ◇정치인 잇따라 소환=검찰은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이상수 통합신당 의원을 14일, 최돈웅 한나라당 의원은 15일 각각 소환, SK비자금 수수 혐의에 대해 집중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경우 검찰은 대선이 끝난 직후 SK로부터 받은 의혹을 받고 있는 양도성 예금증서(CD) 11억원은 최씨가 개인 차원에서 저지른 비리일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또 이상수 의원이 대선 때 수수한 30억원 안팎의 SK비자금에 대한 적법처리 여부를 조사한 뒤 사법처리 수위를 결정키로 했다. 검찰은 15일 출두할 최돈웅 의원을 상대로 정상적인 후원금 처리를 하지 않고 SK로부터 100억원을 수수한 경위 및 구체적인 사용처 등을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들 3명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빠르면 다음주부터 SK비자금을 받은 혐의가 있는 또 다른 여야 정치인 2~3명을 소환할 계획이다. 검찰은 SK측이 조성한 부외자금(비자금)이 2,000억원대에 이르는 점을 감안할 때 정치권에 건네진 비자금 규모가 지금까지 드러난 140억원을 훨씬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원칙대로 한다”=검찰은 SK비자금 파장이 갈수록 확대되자 침묵 속에 사태의 움직임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 노 대통령의 `재신임` 발언으로 SK비자금 수사의 파장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지만 `증거가 있으면 수사를 한다`는 원칙을 지킨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일단 이번 수사를 대선자금 전반에 대한 수사로까지 확대하지는 않는다는 방침이다. 송광수 검찰총장은 지난 11일 “수사할 만한 단서가 나오면 수사를 한다”고 원칙론을 고수하면서 “그러나 단서가 없는데 무작정 수사를 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SK비자금 수사를 지휘하고 있는 안대희 대검 중수부장도 현대나 SK를 제외한 다른 기업은 아직 증거가 드러난 바 없어 현재로서는 수사할 계획이 없다고 일단 선을 그었다. ◇대선자금 전반으로 확대될까=하지만 여야의 대선자금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우선 14일 소환될 최도술씨의 입이 주목되고 있다. 최씨가 노 대통령이 변호사일 때부터 사무장을 맡아 `금고지기`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또 다른 돈`의 실체가 돌출될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부산지역 선대위 회계 책임자를 맡았던 최씨가 `향토기업`을 상대로 비공식적인 대선 후원금을 모금했을 가능성까지 두고 집중적인 자금추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이상수ㆍ최돈웅 의원의 소환조사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들 두 의원이 SK에서 받은 130억원 규모의 비자금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다른 기업이 제공한 대선자금의 성격까지 드러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SK비자금 관련 소환자 혐의ㆍ해명내용 소환자 소환일자 수수 혐의 당사자측 해명 최도술 14일 11억원 상당 CD “1원도 받은 적이 없다” 이상수 14일 30억원 내외 “25억원 받았지만 영수증 처리했다” 최돈웅 15일 현금 100억원 “어떤 돈도 받을 적 없다” <오철수기자, 최수문기자 csoh@sed.co.kr>

관련기사



오철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