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등 부실기업 처리 연내 매듭"

진부총리, 대한생명 빠른 시일내 우선협상자 선정 매각진념 경제부총리는 3일 IMF 구제금융신청 4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우자동차, 현대투신, 하이닉스반도체 등 문제기업들에 대한 처리가 연내에 가닥을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진 부총리와의 일문일답. -외환위기 이후 4년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문자 그대로 좌절과 절망의 시기였다. 온국민이 합심해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는 환란을 당한 국가중 가장 우수한 성적으로 위기를 극복했다. 그러나 아직 위기가 끝난 것은 아니다. -부실기업 처리는 어떻게 되고 있는가. ▲대우자동차가 연내에 계약을 체결하고 하이닉스반도체가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등 부실기업의 처리문제가 연내에 매듭지어질 것이다. 대한생명은 빠른 시일내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매각할 계획이다. -내년의 구조조정은 어디에 역점을 둘 생각인가. ▲앞으로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이노베이션이 중요하다. 정부나 기업, 금융권 모두가 상시적으로 경영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하는 데 구조조정의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재벌, 공공개혁이 후퇴하고 있다는 비난이 거세다. 앞으로의 과제는. ▲재벌정책에 대해서는 많은 오해가 있다. 정부는 전세계적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족쇄를 풀어주자는 것이지 개혁의 고삐를 늦춘 게 아니다. 공공부문의 개혁은 어려운 게 사실이다. 시간이 필요하다. 정부가 바뀌어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연속성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공적자금 상환문제는 ▲공적자금은 회수하려고 만든 게 아니라 기업과 금융부실을 치유하기 위해 치른 비용이다. 상환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세대간 분담이 불가피하다. 외국의 경우도 15~30년에 걸쳐 공적자금을 상환하고 있다. 박동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