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내년 '신 BIS협약' 시행, 은행권 배당 규모 줄인다

"유보 확대·자본 확충 통해 현재 비율 유지"


내년부터 건전성 기준이 강화된 신BIS협약이 시행되더라도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지금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금융감독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내년 1월부터 신BIS협약이 적용되면 은행들의 BIS 자기자본비율이 평균 1%포인트가량 하락할 수 있지만 은행들은 배당억제 등을 통해 내부 유보를 늘리는 동시에 자본 확충을 통해 현재의 비율을 유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시중은행 BIS담당자는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신BIS협약을 적용해도 현재의 BIS비율을 유지하거나 소폭 올라가게 될 것”이라며 “내년도 배당을 얼마 할 것이냐의 문제는 현재 BIS비율을 유지하는 선에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유보를 늘릴 계획이어서 내년도는 올해만큼의 배당이 힘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융감독원도 내년 1월부터 신BIS협약에 따라 강화된 건전성 기준을 적용하면 은행들의 BIS비율이 평균 1%포인트가량 하락할 수 있지만 이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대평 금감원 부원장은 “내년에 BIS비율이 하락할 경우 은행들이 순익에 대한 배당을 억제해 내부유보를 늘리고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기본자본을 확충할 수 있다”며 “신BIS협약에 따른 BIS비율의 하락폭은 은행 자체적으로 흡수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들의 내부유보가 늘어나면 내년도 배당규모는 올해 수준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당기순익의 20~30%가량을 배당 재원으로 활용했지만 내년에는 신BIS비율 적용 등으로 예전보다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은행의 BIS비율이나 배당은 각 은행이 정책적으로 결정할 사안으로 감독당국은 경영등급 1등급 기준인 BIS비율 10% 이상을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18개 은행의 지난 6월 말 현재 BIS비율은 평균 12.87%로 지난해 말보다 0.12%포인트 높아졌다. 은행들의 BIS비율이 높아진 것은 올 상반기에 9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자기자본이 12.49% 증가한 반면 위험가중자산은 9.16% 증가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