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농협금융 우리투자증권 인수] 다른 은행 매각 작업은

경남은행 → BS 유력… 광주은행은 2파전

우리은행 주인 내년 하반기 윤곽

우리투자증권을 비롯한 증권 계열 매각이 마무리되면서 이제 관심은 지방은행과 민영화의 본게임이라 할 우리은행 등 은행 계열로 쏠린다.

당국은 1단계 매각에서 팔리지 않는 자회사는 내년에 우리은행과 함께 매각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는데 우여곡절 끝에 하나의 낙오도 없이 새 주인을 찾아 현재까지는 민영화 작업이 큰 무리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지난 23일 본입찰이 끝난 지방은행 매각 작업의 윤곽도 드러나고 있다.

경남은행 인수전에서는 지역상공인연합인 경은사랑컨소시엄의 자격 시비로 BS금융(부산은행)이 유리한 입장을 점했다.


BS금융은 1조1,000억원이 넘는 가격을 제시해 1조원 안팎을 쓴 경은사랑과 기업은행을 앞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특히 당국은 경은사랑의 펀드운용사(GP)로 참여한 MBK파트너스를 산업자본으로 판단, 인수 자격에 하자가 있다는 입장이다. 경은사랑은 법률 자문 결과 하자가 없었다며 반발하고 있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광주은행을 두고서는 JB금융(전북은행)이 4,000억원 중반대의 가격을 제시한 가운데, 3,000억원대의 신한금융과 마지막까지 진검승부를 벌이고 있다.

JB금융이 다소 높은 가격을 써 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자금조달 측면 등 전반적인 것을 고려할 때 최종 뚜껑이 열려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광주은행의 본입찰 가격이 낮아 유찰되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지만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인수 후보들이 시장에 알려진 가격대보다 더 높은 가격을 써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공자위와 예보는 26일 지방은행 인수 후보의 프레젠테이션을 들어본 후 오는 30일께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특히 경남은행의 경우 지역정서와 결합한 정치 바람이 경제논리를 뒤엎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만큼 혼탁 양상이라 민영화 작업의 최대 고비가 될 수 있다.

우리금융은 최근 지주 설립과 합병 과정에서 발생하는 7,000억원의 세금을 피하기 위해 당초 26일로 예정됐던 지주사 인적분할을 위한 임시주총을 내년 1월28일로, 분할 기일은 내년 2월1일에서 3월1일로 각각 연기했다. 당국은 이번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증권계열의 최종 계약은 확인 실사 등을 거쳐 내년 3월까지 마무리하고 지방은행 최종 계약시점은 내년 5월로 잡고 있다. 우리은행의 매각 절차는 내년 1월 중에 개시된다. 아직 정확한 로드맵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내년 하반기는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