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산가전품 일제 축출

◎휴대용카세트·캠코더 가전3사 국내시장서 일추월/에어컨·세탁기 등은 자체브랜드로 일 진출도휴대용 카세트 등 일제 일색이던 국내 가전시장이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서서히 국산제품으로 대체되고 있다. 또 에어컨 등 일부 제품들은 자체브랜드로 일본에 진출, 「극일제품」으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어 주목된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휴대용 카세트 시장은 10여년 넘게 몰래 들여오던 일본 소니와 아이와제품 등이 대표 행세를 했었으나 최근들어 삼성과 LG, 대우 등 국내 가전3사의 제품들이 가파른 판매신장세를 보이면서 올들어 시장점유율에서 우위를 점하게 됐다. 특히 휴대용 카세트는 지난 95년부터 국산이 일본산 제품들을 맹렬히 추격하기 시작, 지난해에는 국산과 일제가 각각 절반비율이었으나 올들어서는 국산제품이 52%를 차지하고 일본제품이 20%, 중국과 동남아 등에서 생산된 일본제품이 28%를 점유, 국산제품 판매가 일제를 추월했다. 캠코더도 지난 93년까지는 일본산이 50.3%를 차지, 앞섰으나 삼성과 LG전자의 기술력이 높아지면서 94년에는 39%, 올들어서는 23%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밖에 한때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주부들의 필수 쇼핑품목으로 물의를 빚기도했던 일제 「코끼리밥솥」도 LG와 삼성, 대우 등 국내 가전사들이 밥솥 전체를 3백60도 골고루 가열해 주는 유도가열(IH)방식을 채택한 신제품들을 잇달아 출시하면서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올해부터 자체 브랜드로 일본 에어컨 시장에 진출, 올 매출목표인 벽걸이형 에어컨 4천대를 모두 판매했으며 세탁기시장에도 최근들어 연 20% 이상의 성장을 거듭, 올들어서만 3만대 가량을 판매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도 자체브랜드로 TV와 모니터를 일본시장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노트북PC를 일본시장에 처음으로 내놓아 큰 호평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박형준 기자>

관련기사



박형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