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펀드 환매, 또 주가 '발목'


-증시 강세 속 최근 4거래일 국내 주식펀드 순유출 지속...수급 부담 작용 -전문가들, “증시상승 전망 우세…‘원금회복=펀드환매’보다는 길게 보고 투자해야” 기업의 실적호조에 힘입어 코스피지수가 전고점을 돌파하는 등 강세장이 연출되자 어김없이 펀드 환매가 쏟아지며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억누르고 있다. 증시전문가들은 현 상황에서 단순히 원금 회복만을 이유로 펀드환매에 나서기보다는 증시가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15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6.72포인트(0.38%) 하락한 1,751.29포인트로 마감했다. 하루 앞선 지난 14일 코스피지수가 전고점을 돌파하며 22.93포인트(1.32%) 상승 마감한 데 따른 숨 고르기로 보이지만 투신권을 중심으로 기관이 매물을 쏟아낸 점이 추가 주가 상승을 억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외국인이 4,032억원을 사들이면서 6거래일 연속 ‘사자’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개인도 6거래일 만에 순매수로 돌아섰지만 기관은 4,337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증시하락의 원인을 제공했다. 특히 투신권은 증시가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던 12일 560억원의 순매도를 보인데 이어 13일과 14일 각각 1,046억원, 1,414억원의 매도우위를 나타냈고 15일에는 무려 4,29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 같은 투신권의 매도공세는 국내 주식형펀드 환매 행진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가 1,700선에 바짝 다가선 8일부터 13일까지 국내 주식형펀드(상장지수펀드(ETF) 제외)에서 연일 돈이 빠져나간 가운데 이 기간 순유출 금액은 모두 2,905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13일까지 1,700~1,800선에서 국내 주식펀드 환매 금액이 펀드 가입금액보다 1,635억원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구간에서의 펀드환매 물량은 대부분 소화됐다는 뜻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1,800선 이후 지수대별 펀드 순유입 자금은 ▦1,800~1,900선 9조7,301억원 ▦1,900~2,000선 8조5,925억원 ▦2,000선 이상 6,368억원으로 집계됐다. 1,800선 이후에 무려 19조원 가까운 순유입자금이 남아 있는 것으로 코스피지수가 1,800선을 넘어설 경우 ‘원금회복’에 성공한 대규모 펀드 자금이 다시 환매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박석현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800선 이하의 환매 물량은 대부분 소화됐지만 코스피지수가 그 이상 추가 상승하면 환매 압력이 다시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시전문가들은 국내 증시에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대비 주가 수준) 매력과 함께 기업이익 모멘텀이 있는 상황에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 주가가 추가로 상승할 수 있는 만큼 섣부른 펀드 환매보다는 ‘보유’에 무게를 두고 적절한 자산배분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 팀장은 “증시가 현재보다 10~15% 정도 더 오를 것으로 본다”며 “당장 박스권을 돌파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차 바닥을 높여가면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펀드 환매보다는 보유 전략이 더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김혜준 대우증권 연구원은 “지금 당장 필요한 돈이 아니라면 원금을 회복했다고 펀드를 환매하기보다는 좀더 들고 가는 것이 수익률을 높이는 데 유리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