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위성통신 주파수대역 KA 활용

정통부, 내년 상용화정보통신부는 도서·산간지역에서도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초고속 위성통신 서비스를 본격 개발할 방침이다. 정통부는 이를 위해 주파수 자원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KA대역(20-30㎓)을 활용한 초고속 위성통신 서비스를 적극 개발키로 하고 올해안에 KA 대역 중계기를 활용한 양방향 원격교육 시스템을 시범 구축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서비스가 상용화되는 내년부터는 기존 전화선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인 ADSL(비대칭 디지털가입자망)이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도 평균 2~3MBPS 전송속도로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된다. 2005년에는 KA대역을 이용한 전세계 위성통신 서비스 시장이 210억달러, 관련 장비시장은 24억달러에 각각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특히 국내업체들이 장비시장에서 20%를 차지할 것으로 정통부는 내다봤다. 그럴 경우 연간 5억달러의 수출 증대효과와 3,000억원의 부가가치 창출 및 연인원 6,000명의 고용 유발효과가 있다고 정통부는 설명했다. 정통부는 이를 위해 오는 2002년까지 정부·민간 합동으로 150억원을 들여 KA대역 지구국 기술개발과 양방향 위성 멀티미디어 지구국 핵심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KA는 20~30GHZ의 위성통신 주파수 대역을 가리키는 말로 기존 C(4~8GHZ)나 KU(12~18GHZ) 대역보다 주파수 자원이 풍부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특히 기존 C대역과 KU대역의 주파수 자원이 포화됨에 따라 세계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다. 정통부는 이 시스템이 상용화하면 국가 백업(BACK-UP) 통신망 확보 도서·산간 지역의 초고속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 통일시 북한의 통신·방송 인프라 조기 확보 등의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균성기자GSLEE@SED.CO.KR

관련기사



이균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