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전자의 진로는

현대전자의 진로는 박종섭사장 독립경영체제…해외불신 크게 해소될듯 현대가 현대전자를 내년에 조기 계열분리시키기로 함에 따라 이 회사에 대한 해외 금융기관의 불안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분석된다. 박종섭 전자 사장이 현대 사태에 개입하지 않으려는 독자적인 행보를 계속했음에도 외국 금융기관들은 현대전자를 정몽헌(MH)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 주로 인식,지난 14일에는 UBS워버그증권이 투자의견을 하향조정하기에 이르렀었다. 이번 조기 계열분리에 따라 현대전자에 대한 이러한 불신은 사라지고 박종섭 사장의 독립경영체제가 확실히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전자의 앞날에는 조기 계열분리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과제들이 쌓여 있어 박종섭 사장의 경영 능력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우선 현대 계열사들이 현대전자 지분을 처분할 경우 누가 이 주식을 인수할 것인가 하는 문제다. 현재 현대전자 지분은 정몽헌 회장이 1.7%, 현대상선이 9.25%, 현대중공업이 7.01%, 현대엘리베이터가 1.17%를 각각 가지고 있다. 현대전자는 해외 금융컨소시엄이 이 지분을 사 줄 것을 내심 바라고 있으나 반도체 경기가 지금처럼 악화된 상황에서 이러한 대규모 지분을 인수하려는 금융기관이 있을 지는 의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정몽헌 회장이 나중에 현대전자 지분을 다시 산다는 조건아래 해외 금융기관과 이면계약을 맺을 것이라는 관측마저 내놓고 있다. 현대전자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더욱 중요한 문제는 현대전자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자금 조달계획을 얼마나 실현할 수 있는가이다. 현대전자는 최근 원화 신디케이트론 1조원, 회사채 차환발행 5천억원, 수출채권유동화 6천억원, 자산매각 5천250억원, 해외매출채권 유동화 3천580억원, 해외 기채5천500억원 등 총 3조5천330억원의 자금조달계획을 내놓았다. 이중 자산매각, 해외매출채권 유동화, 해외 기채 등은 실현 가능성이 높지만 원화 신디케이트론, 회사채 차환, 수출채권 유동화는 추진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은행들이 BIS(자기자본) 비율을 맞추기 위해 대출을 극도로 자제하는 상황에서1조원의 차입이 가능할지, 연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가 14조원에 이르는 채권시장에서 투기등급인 현대전자의 회사채가 차환발행될지는 미지수이다. 또 수출채권은 현재 여신으로 분류돼 있어 수출채권 유동화를 위해서는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이 현대에 대한 동일계열 여신한도를 늘려주어야 한다. 현대전자는 현재 유동성 위기는 겪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추진하는 자금 조달계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반도체 업체에 필수적인 설비투자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독립경영체제에 들어선 박종섭사장의 경영기반이 확고하게 자리잡느냐 그렇지 못하느냐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조영주기자 입력시간 2000/11/20 18:2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