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총 임금가이드라인 발표] 올 임단협 진통 예고

철도와 가스 등 국가기간산업 노조가 오는 25일 총파업을 선언한 가운데 21일 경총과 한국노총이 발표한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이 현저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올해 임단협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경총 임금인상률 4.1% 제시 경총은 올해 실제 국내총생산(GDP)성장률 4.1%와 소비자물가상승률 3%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적정 임금인상률을 4.1%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경총은 올해 월드컵ㆍ아시안게임 등 대규모 행사로 인한 특수와 소비증가로 경제성장률이 지난해보다 높아질 전망이지만 대통령선거와 수출 감소세 등 불안요인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경총의 한 고위관계자는 "노조측이 주장하고 있는 12%대의 임금성장률은 국민경제생산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기업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조남홍 경총 부회장은 "올 한해 총임금 비용이 250조원에 달한다"면서 "노동계가 임금상승률 1%만 양보하면 2조5,000억원으로 10만명의 청년 실업자들을 구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노동계 12%대 임금인상 요구 민주노총이 지난달 30일 대의원대회에서 12.5%의 임금인상을 요구한 데 이어 한국노총도 21일 올 임금인상 요구율을 12.3%(20만104원)로 확정, 발표했다. 한국노총은 "노총이 제시한 올 표준생계비(3.5인 기준) 309만8,856원에다 6월까지 물가상승률(1.45%)을 감안하면 필요 생계비는 314만3,789원에 달한다"며 "이 가운데 이자 등 근로 외 소득을 제외하면 가구주가 책임져야 할 생계비는 214만5,322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현재 근로자 평균임금(162만3,420원)과는 무려 52만원이나 차이가 나는 액수다. 노총은 이 차액을 다 요구하기는 어렵지만 가구주가 책임져야 할 생계비(214만원)의 85% 수준인 182만3,524원은 확보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임금보다 12.3%, 20만104원이 많은 금액이다. 이정식 한국노총 대외협력본부장은 "IMF 이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인력감축과 일부 임금반납 등으로 근로자들은 그동안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왔다"며 "기업과 근로자의 요구액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거비와 교육비 문제 등을 해결해주는 산업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철수기자 최인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