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소폭 70년이래 최대…'황혼이혼'비중 10년새 2.5배로
지난해 이혼건수가 16년 만에 처음 줄었으며 이혼건수 감소폭도 관련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70년 이래 가장 컸다. 그러나 20년 이상 함께 살았던 부부가 헤어지는 이른바 ‘황혼이혼’이 전체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로 10년 만에 2.5배로 뛰었다. 반면 결혼건수는 재혼과 국제결혼 증가에 힘입어 8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04년 혼인ㆍ이혼 통계’에 따르면 이혼건수는 13만9,365건으로 전년의 16만7,096건보다 16.6% 감소했다. 이혼건수가 줄어든 것은 88년에 0.6%가 감소한 후 16년 만에 처음이다.
그동안 이혼건수는 2001년 12.5%, 2002년 7.6%, 2003년 15.0% 등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으나 지난해 가파른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지난해 이혼한 부부는 전국 100쌍당 1.16쌍으로 전년의 1.40쌍에 비해 줄어들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이혼건수 중에서 부부 동거기간이 20년 이상인 ‘황혼이혼’은 18.3%로 전년의 17.8%에 비해 0.5%포인트 높아지면서 94년 7.2%의 2배 수준에 이르렀다.
전체 이혼의 이유로는 성격차이에 따른 갈등이 49.4%로 2000년의 40.1%에 비해 9.3%포인트 높아졌고 경제문제도 10.7%에서 14.7%로 올라갔으나 가족간 불화는 21.9%에서 10.0%로, 배우자 부정은 8.1%에서 7.0%로 각각 낮아졌다.
지난해 혼인건수는 31만944건으로 전년의 30만4,932건에 비해 2.0% 늘어나 96년의 9.1%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는 초혼건수가 지난해에 23만3,129건으로 전년의 23만5,622건보다 1.1% 줄었으나 재혼건수가 6만7,550건에서 7만5,565건으로 11.9%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또 외국인과의 혼인이 3만5,447건으로 전년도 2만5,658건보다 38.2% 늘어난 것도 전체 혼인건수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한편 지난해 초혼의 평균연령은 남자가 30.6세로 10년 전인 94년의 28.3세보다 2.3세가 올라갔고 여성도 25.2세에서 27.5세로 같은 폭으로 상승했다. 이혼 평균연령은 남자가 41.8세, 여자가 38.3세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3.7세, 4.1세가 각각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