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10일] 李·朴 회동, 난국 수습책 마련해야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오늘 회동에서 난국을 극복하기 위한 협력과 화합이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대 또한 크다. ‘광우병 소동’ 등 국정혼란 원인 중 하나가 당내 불화이고 그 중심에 두 사람이 서 있다는 점에서 이번 만남은 만시지탄의 감이 있다. 새 정부가 지난 2개월 반 동안 동력을 잃고 허둥거린 것도 당내 불화에 따른 당정 불일치 때문이라는 점에서 이번 회동에서 난국 수습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평행선을 달리던 두 사람의 이번 회동은 아이러니하게도 범여권의 위기가 마련해준 셈이다. 이 대통령은 박 전 대표와의 ‘파트너십 회복’을 통한 범여권의 결집 없이는 국정혼란 극복은 물론 경제 살리기도 어렵다고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속았다며 탈당설까지 나돌던 박 전 대표도 그동안의 기득권을 잃을 우려와 함께 한 계파의 수장처럼 처신한다는 오해를 살 수도 있는데다 난국을 방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그동안 당과 정부ㆍ청와대 사이가 원만치 못했던 것은 현 정부가 인사의 첫 단추를 잘못 낀 것과 두 사람의 불화가 큰 원인이다. 광우병 소동이나 조류 인플루엔자(AI)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것도 이런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 대통령은 경제를 살린다고 새벽부터 뛰어다니지만 공직사회는 ‘전봇대 뽑기’ 등 지시사항이나 소극적으로 처리하며 눈치를 보니 국정에 탄력이 생길 리 없다. 통치행위는 바로 정치고, 정치는 조화가 생명이다. 이를 위해서는 포용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여의도 정치와 간격을 두려고만 해서는 안 된다. 광우병 소동은 정치선동의 성격이 크지만 대통령이 여의도 정치와 정부 첫 인사에 대한 국민의 반응을 살피고 포용했으면 사태가 이처럼 확대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지율이 20%대로 급락한 것도 ‘포용과 조화’ 없이 혼자 뛰는 정치에 국민이 불안감을 느낀 때문이다. 박 전 대표와의 회동은 이런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두 사람이 새 정부 2개월 반 동안을 허심탄회하게 짚어보고 난국수습을 위해 뜻을 모아야 한다. 서로 국정의 동반자임을 확인하고 “사심 없는 마음으로 나라 일을 할 것”이라는 박 전 대표의 결심이 어우러진다면 현재의 위기는 기회일 수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