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경기” 등 인접도로 전출 두드러져/총 8백85만명 이동… 전년보다 2.4% 줄어/수도권 유입은 87년 정점으로 감소 추세사회가 안정되면서 이동인구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동내용을 보면 수도권, 대도시로의 이동성향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6개 대도시의 전출자는 해당시가 인접한 도로 간 경우가 많아 이들 도시의 광역화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경기도로의 순이동 증가세는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일산, 분당 등 서울 주변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완료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주민등록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96년 인구이동상황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주민등록을 옮긴 사람은 총 8백85만5천명(19.2%)으로 전년보다 2.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일본 5.2%, 대만 7.4%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지만 88년 23.9%로 정점을 기록한 뒤 감소추세를 지속, 사회의 안정화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시도간 이동자는 2백83만6천명(총이동자의 32%)으로 95년보다 2만9천명 감소했다. 이는 서울 전출자가 전년보다 8만4천명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주민등록을 옮긴 사람은 52만1천명으로 95년 59만9천명을 정점으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동한 사람은 95년 26만3천명에서 지난해 29만1천명으로 늘어났다.
서울에서 경기도로의 순이동자는 23만명으로 95년 정점(33만6천명)을 보인 뒤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이는 일산, 분당 등 서울주변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완료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시도간 경계를 넘어 이동한 사람들은 수도권, 대도시로의 이동성향이 높았고 6개 대도시의 전출자는 해당시가 인접한 도로 간 경우가 많아 이들 도시의 광역화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서울전출자의 65.1%가 경기도로, 부산전출자는 49.7%가 경남으로, 대구전출자는 55.6%가 경북으로, 인천전출자는 39.4%가 경기도로, 광주전출자는 51.3%가 전남으로 전입했다.
연령별 순이동상황을 보면 수도권 인구유입은 10∼20대의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10만1천3백90명이 순증했다. 영남권은 모든 연령층에서 전입보다 전출이 많았다.
시도별 총이동자수는 서울(2백95만9천명)과 경기도(2백44만7천명)가 5백40만6천명으로 61.1%를 차지했다. 경기도는 25만3천명의 전입초과를, 서울은 21만1천명의 전출초과를 보였다.
연령별 인구이동을 보면 총이동자 중 20대와 30대가 각각 2백45만2천명(27.7%), 2백5만2천명(23.1%)으로 절반을 넘었다. 이는 결혼으로 인한 분가와 취학·취업 등의 사정으로 인구이동이 많은데 따른 것이다.
여자의 경우 특히 20대의 인구이동(29.5%)이 남자(25.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결혼으로 인해 주민등록을 남자쪽에 옮긴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전입자는 87년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추세이나 전출은 별다른 변동이 없어 인구유입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입자의 전거주지 분포는 전남이 59만9천명(14.4%)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54만3천명(13.0%), 전북 49만4천명(11.8%), 강원 47만6천명(11.4%) 순이었다.
수도권 전입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44.4%를 차지했고 10세 미만과 30대 연령층은 수도권 밖으로의 순이동이 꾸준히 증가했다.
서울로부터의 순이동이 많은 지역은 고양시(28.5%), 분당을 포함한 성남시(13.5%), 부천시(6.5%), 용인시(6.3%), 남양주시(6.2%), 안산시(5.8%), 안양시(5.0%) 등의 순이었다.
서울 전출입자를 세대별로 보면 총 4만5천세대의 전출초과를 보이고 있으나 단독세대는 1만7천세대의 전입초과를 보였다. 통계청은 이를 지방에서 홀로 상경하여 결혼 후 서울을 벗어나 경기지역으로 이동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임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