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적인 공기업중의 하나인 KT가 완전 민영화 됐다. 정부보유 지분 28.36%(8,857만주) 가운데 교환사채(EB)를 제외한 주식 매각분 14.53%(우리사주 5.7% 포함)에 대한 공모결과, 청약이 완료된 것이다. 지난 1987년부터 시작된 KT의 민영화 작업이 15년만에 대단원의 막을 내린 셈이다.
기업별 주식공모에서 SK텔레콤이 가장 많은 3.8%를 배정 받게 되면서 뒷말이 이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SK텔레콤은 EB를 포함할 경우 최대 11.35%까지 지분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럴 경우 우리나라의 유ㆍ무선 통신시장을 사실상 지배하는 최강자로 떠오르게 돼, 벌써부터 통신시장 구도변화에 대한 파장이 예고되고 있기도 하다. 정부의 지분매각이 성공했다고는 하지만 일부에서 민영화를 평가 절하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정부는 이번에 KT 민영화의 전제로 '성공적 지분 매각'과 '소유와 경영의 분리'라는 두가지 목표를 내세웠다. 결국 두마리 토끼 가운데 지분매각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14조8,860억원이라는 엄청난 물량 부담에도 불구하고 시장 가격에 근접한 수준에서 매각물량 전량을 소화한 것이다. 매각후 처음으로 열린 장(20일)에서도 KT주는 5%나 올라 주식시장의 반응은 정부의 민영화 방침을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헐값'이나 '비싼값'에 팔았다는 비난은 최소한 면하게 됐다.
문제는 정부가 SK에 대해 상호 견제의 축을 맡아 줄 것으로 기대했던 삼성과 LG가 제 역할을 전혀 못하게 됐다는 점이다. 삼성의 경우 단 한주도 배정받지 못하게 돼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꼴'이 됐으며 LG역시 배정 물량이 1%에 불과, 힘을 쓰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전문경영인 체제인 포스코를 모델로 삼으려 했던 정부의 당초 의도가 SK텔레콤에 주식이 쏠림으로서 희석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없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관심은 민영화 이후 KT의 모습에 모아진다. SK텔레콤은 정부와 KT, 그리고 일반의 시각을 의식, "경영권까지는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기업 가운데서는 최대주주라는 점에서 SK텔레콤의 행보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오프 라인의 SK텔레콤, 온 라인의 KT라는 두 공룡 체제를 견제할 수 있는 기업의 출현이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정부의 대응책도 주목된다. 포스코와 같은 경영체제의 실현을 기대해볼만하다. 독점적 지배구조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함께 전문경영인 선정도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