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채권단 갈등 금호산업, 법정관리 가나

우리은행 예금계좌 가압류 철회여부 합의 못해

금호산업 정상화를 둘러싸고 채권단 간 이견이 극한대립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최악의 경우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포기하고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방안까지 거론됐다. 채권단 간 이전투구가 전개되면서 금호산업의 정상화 작업은 후퇴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21일 서울 신문로 금호아시아나 본사 사옥에서 채권단 긴급협의회를 개최하고 최근 벌어진 우리은행의 금호산업 예금계좌 가압류 철회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 논의는 3시간 동안 이어졌지만 합의점은 나오지 않았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을 제외한 97개 채권단은 금호산업의 예금계좌 가압류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는 않지만 최악의 경우 법정관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1(우리은행)대 97(나머지 채권단)'의 구도로 전개된 이날 회의에서 법정관리 얘기가 나왔지만 실제 추진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법정관리가 진행되면 상거래채무까지 동결되는 등 채권단 전체가 잃을 것이 더 많다.

관련기사



이 때문에 법정관리설 부각은 우리은행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지만 우리은행도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는다면 현재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리은행은 긴급협의회 개최 후 뿌린 보도자료를 통해 ▦80% 현금상환, 20% 출자전환 ▦50% 상환 후 후순위 담보제공 ▦워크아웃 기간 내 분할상환 ▦분할상환 및 후순위담보 제공 등의 4가지 방안이 수용되지 않는다면 예금계좌 가압류를 풀 수 없다고 밝혔다.

채권단 간 갈등이 확산되면서 금호산업의 유동성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금호산업은 현재 연결기준 완전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 기로에 서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지금 전 채권단이 금호산업을 살리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는데 우리은행만 은행의 공공성을 도외시하는 처사를 보이고 있다"며 "이른 시일 안에 추가 회의를 소집해 접점을 찾겠다"고 말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