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몽구 회장 "최고급 철강 생산 국가경쟁력 기여"

현대제철 당진 일관제철소 건설현장 최종점검

정몽구(오른쪽 두번째)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이 현대제철 당진 일관제철소 건설현장을 찾아 내년 1월5일 가동 예정인 제1고로를 최종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제철

정몽구 현대ㆍ기아차그룹 회장이 지난 24일 고로 화입식을 10여일 앞둔 현대제철 당진 일관제철소 현장을 찾아 건설 상황을 최종 점검했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현대제철의 일관제철 사업은 현대·기아차그룹의 성장을 견인하는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라며 "세계 최고급 철강제품을 생산해 자동차ㆍ조선ㆍ기계ㆍ가전 등 수요산업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중대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고로 화입식은 완공된 고로에 불을 붙이는 작업으로 고로의 정상가동을 의미한다. 현대제철은 2006년 10월에 첫 삽을 뜨기 시작해 3년여 동안 총 5조8,400억원을 투자, 내년 1월5일 화입식을 앞두고 있다. 화입식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내년 4월부터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돌입한다. 정 회장은 성공적인 준공을 눈앞에 둔 시점에 현장을 직접 방문해 당진 일관제철소 건설은 현대ㆍ기아차그룹의 사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사업인 만큼 사명감을 갖고 건설사업에 주력해달라고 당부한 것이다. 일관제철소 건설은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 때부터 이어져온 숙원사업으로 정 회장은 현대제철의 당진 일관제철소 건설사업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왔다. 실제 정 회장은 일관제철소 건설이 시작된 후 매주 2~3차례 현장을 방문해 공정 진척도와 안전상황 등을 직접 점검해왔다. 현대제철의 당진 일관제철소에 건설되는 고로 1호기는 연간 400만톤의 쇳물을 생산할 수 있다. 쇳물은 주로 열연강판과 후판생산에 쓰인다. 현대제철은 오는 2011년 초 2고로까지 완공할 계획이어서 고로 2기가 모두 가동되면 연간 800만톤 규모의 쇳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현재 2고로 건설까지 포함해 전체 종합 공정률은 91.6%를 기록하고 있다. 당진 일관제철소가 완공되면 현대ㆍ기아차그룹은 현대제철-현대하이스코-현대ㆍ기아차로 이어지는 생산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철강제품의 원료인 철광석에서 완제품인 자동차까지 모두 만들 수 있는 생산체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현대ㆍ기아차그룹은 일관생산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007년부터 ▦현대제철은 조강생산과 열연강판 제조 분야 ▦현대하이스코는 냉연강판 제조 분야 ▦현대ㆍ기아차는 완성차 개발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해왔다. 회사의 한 관계자는 "각 계열사 간 기술협력을 통해 최상의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자동차 산업 이외에도 조선ㆍ기계ㆍ가전 등의 산업에서도 국산화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