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사전조치 이행해야 6자회담 재개"

한미일 수석대표, 발리서 'UEP 중단' 등 조건 재확인

한국ㆍ미국ㆍ일본 3국의 북핵 당국자들이 4개월 만에 만나 6자회담 재개에는 북한의 사전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들 3국은 조만간 외교장관회의를 열어 북핵 6자회담 재개방안 등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스기야마 신스케 일본 6자회담 수석대표는 17일 오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3자협의를 열어 북핵 6자회담 재개에 대한 기본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공이 북한에 넘어가 있고 북한이 농축우라늄프로그램(UEP) 중단 등 구체적인 행동으로 성의를 보여야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3자 간 공감이 분명히 존재했다"며 "남북 간, 북미 간 각각 두 차례 대화를 거쳤으며 한미일 3국이 공동으로 같은 입장을 확인하고 신호를 발신했다는 데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일 3자 외교장관회의 개최 여부에 대해 이 당국자는 "구체적인 것은 정해지지 않았는데 만약 뭔가 확정되면 우리가 주관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자세한 언급은 피했다. 스기야마 일본 측 수석대표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미일 3자 간 외교장관 협의가 있을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오는 29일 세계개발원조 총회가 열리는 부산에서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글린 데이비스 신임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북핵 문제에 대해 "미국 정부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밝히는 등 6자회담에 의욕을 보이면서 북핵 관련 한미 간 대화에 속도가 붙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임 본부장이 오스트리아 빈을 방문한 것도 이와 관련된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이른 시일 내에 뭔가 있을 거라고 상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