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작전세력 의심스런 '정치인 테마주'

최근 주식시장에서 이른바 '정치인 테마주'들을 중심으로 주가가 급등락하는 현상이 빈발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정치인이나 저명인사들과 관련이 있다는 이유 등으로 관련기업의 주가가 춤추고 있는 것이다. 주가변동의 근거가 있는 경우도 없지 않겠지만 대부분은 근거가 희박한데다 작전세력의 시세조종 의혹이 제기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 같은 정치인 테마주들을 중심으로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가 긴급 감시활동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작전세력이 개입하고 있다는 징후가 적지 않아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작전세력에 의해 주가가 급등락하는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투자자들에게 돌아가기 마련이다. 최근 정치인 테마주로 거론되는 기업의 주가 움직임을 보면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가령 안철수 교수가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면서 안철수연구소 주가는 지난 2일과 5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불출마를 선언한 7일에는 하한가로 추락했다. 반면 박원순 변호사의 테마주로 분류되는 몇몇 기업의 주가는 일제히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박 변호사가 사외이사 등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 이유다. 안 원장이 불출마를 선언하자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저출산대책 수혜주로 분류되는 기업의 주가가 급등세로 돌아서는 황당한 사례도 있다. 전일 모두 하한가를 기록한 주식들이다. 최근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과 연계된 테마주들도 등장해 급등락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선거정국이 본격화하면 이런 정치인 관련 테마주들이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크고 이 과정에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도 늘어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전세력들이 농간을 부리지 못하도록 증권당국의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 개인투자자들도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으려면 뇌동매매를 삼가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