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살충동 부추기는유전자 있다

캐나다의 왕립 오타와 병원 연구진은 지난 10년 간의 추적 연구 끝에 이러한 유전자를 발견해 스스로 목숨을 끊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미리 가려낼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영국 주간 옵서버지가 30일 보도했다.2월 7일자 미국 유전의학저널에 발표될 이 연구는 120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분과 연관된 화학물질인 세로티닌 2A 수용체를 조작하는 유전자가 절단된 경우 이 유전자가 정상인 경우보다 자살률이 2배 이상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우울증 외에 유전적 요인도 자살을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드러낸 것으로 이러한 유전자 손상이 있는 우울증 환자들은 자살 가능성이 높아 더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고 이 연구에 참여한 파벨 흐르디나 박사는 말했다. 신문은 그러나 자살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유전자 검사로 가려내게 될 경우 취업이나 보험가입 등에서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여객기나 학교버스 운전을 금지시켜야 되는지 등 새로운 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의학계 일부에서는 유전자가 자살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론 자체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런던정신분석연구소의 틸 와익스 박사는 『자살 유전자가 있으면서도 자살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고 반문하면서 연구 결과의 해석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브뤼셀=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