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6일 유럽정상회의] 떼쓰기만 느는 그리스

소홀한채 "2035년 만기채권까지 구제해달라" 요구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빠진 그리스의 떼쓰기가 갈수록 도를 넘어서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24일(현지시간) 그리스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그리스가 구제대상 국채의 만기를 지난 7월 유럽 정상회의에서 결정된 2020년보다 훨씬 긴 2035년분까지 포함시켜달라고 주장하는 등 유로존 해법을 더욱 꼬이게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리스 정부는 이뿐만 아니라 구제대상 채권의 규모를 추가로 확대하는 것을 비롯해 민간 채권단의 '자발적' 차환 참여와 유럽중앙은행(ECB)의 적극적인 개입까지 요구하는 등 외부지원에 목을 매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ECB 없이는 어떤 문제도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ECB가 그리스 구제금융 과정에 반드시 개입해야 한다"며 "더불어 채무 구조조정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그 어떤 조치에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유럽 내에서는 그리스가 공무원들의 연금 삭감이나 인력 조정 등 자발적인 긴축정책에는 소홀히 한 채 계속해서 외부 자금줄에 기대 목숨을 연명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며 비난하고 있다. 한편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5일 공개한 유럽연합(EU), 국제통화기금(IMF), ECB의 그리스 실사 보고서에 따르면 그리스는 오는 2021년까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이 불가능할 뿐더러 구제금융 기간도 당초 2014년에서 2020년까지 연장돼야 한다. 보고서는 또 그리스의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7월 실사 때보다 더욱 보수적으로 잡았으며 국영기업 민영화에 따른 예상 수익도 하향 조정했다. 현재 그리스 정부의 국영기업 민영화 작업은 국민들의 저항 속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까지 어려워지면서 구매자 찾기가 더욱 힘든 실정이다. 보고서는 국영기업 매각수익이 정부의 기대치인 660억유로에 크게 못 미치는 460억유로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그리스 재건을 위한 지원에 10년 정도가 소요될 것"이라며 "그리스가 장기적으로 EU 및 IMF의 공적관리하에 놓이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