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미소금융지점 연내 70개 추가 설립

금융위, 소년소녀가장 대출등 지원방식도 다양화

최선길(왼쪽 두번째) 도봉구청장과 이경학(〃세번째) 국민은행 여신그룹 부행장이 20일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KB미소금융재단 2호점 개소식에서 축하 떡을 자르고 있다. 국민은행은 앞으로 기존의 대전과 서울 창동 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대출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저소득자에게 창업자금 등을 빌려주는 '미소금융' 지점이 올해에만 70개가 추가로 설립된다. 또 전통시장 상인, 탈북자, 소년소녀가장, 다문화 가정 등에 맞춤형 대출을 하는 등 지원방식도 다양화된다. 금융위원회와 미소금융중앙재단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미소금융추진계획을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1월 말에 25개 미소금융 지점 모집공고를 하고 하반기에 추가로 모집할 계획이다. 올해 기업과 은행의 기부금 2,228억원을 가지고 미소금융 사업에 2,178억원, 소액보험사업에 50억원을 쓸 예정이다. 여성을 위한 전용 상품도 나오며 소액 대출을 한 후 연체가 없을 때 추가로 대출해주는 방식, 초기에 저금리로 빌려주고 일정 상환 기간 이후 금리를 높이는 방식을 추진한다. 또 10명으로 그룹을 만들어 서로 보증을 서도록 하고 이 중 2~3명에게 먼저 빌려주고 나서 상환이 이뤄지면 다른 사람에게 대출해주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중복지원이 이뤄지지 않도록 일반 금융회사 대출과 각종 정책자금의 지원현황을 알 수 있는 통합정보시스템도 구축한다. 아울러 사후관리를 위한 구체적 기준을 만들고 지점 대표자나 자원봉사자 등의 불법 대출이나 자금유용 등을 막기 위한 처벌 기준을 마련한다. 미소금융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운영방안에 대한 조언을 받고 여유자금의 운용 수익률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미소금융대출 기준의 완화도 검토하기로 했다. 홍영만 금융위 금융서비스국장은 "창업자금을 대출받을 때 종전에 2년간 사업을 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거나 창업자금의 50%를 자기 돈으로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조항이 까다롭다는 이야기가 있다"며 "미소금융중앙재단과 함께 이 기준의 완화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