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형 고등훈련기사업 재개/전투기 독자개발 ‘신호탄’

◎“최대 과제” 설계개발 기술력 확보 가능/작업물량 안정적… 항공산업발전 가속정부가 1조6천억원 규모의 한국형 고등훈련기(KTX­2) 연구개발사업을 올 하반기부터 재개키로 함에 따라 99년 이후 일감부족을 우려했던 삼성항공을 비롯, 국내 항공업체들은 일단 후속작업물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와함께 항공업체들은 항공기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설계기술개발작업에 처음부터 참여함으로써 KFP(한국전투기)사업을 통해 부족했던 설계기술을 확보, 오는 2005년 사업이 본격화되면 우리나라도 첨단전투기의 설계생산국대열에 올라설 수 있게 됐다. 업계는 이번 결정으로 공군이 필요로 하는 고등훈련기 겸 경공격기 94대를 국내개발로 충족시킴으로써 오는 2010년에는 F­16급 전투기의 독자개발 역량구축은 물론 2000년대에는 세계항공산업 10위권 진입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군의 고등훈련 및 경공격 임무수행을 위한 초음속 제트항공기를 국내에서 연구개발하는 KTX­2 사업은 지난 89년 군의 전투기 수요충족 및 항공기의 국내생산, 정비수리 및 후속군수지원 능력을 갖추기 위한 KFP(F­16 면허생산)사업에 이어 독자적인 항공기 설계개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에따라 92∼95년중 미국 현지에서 한국 84명, 미국 57명으로 설계센터를 구성하고 미 록히드마틴사와 공동으로 기본설계를 끝마치고 96년부터 본격적인 「체계개발」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총 1조6천억원을 투입해 마하 1.4의 초음속제트기를 미국과 공동으로 개발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92년부터 4년간에 걸쳐 7백여억원(직접투자비용)을 들여 탐색개발(항공기 기본형상 설계)을 끝내고서도 예산부족과 투자사업성에 대한 부처간 이견으로 인해 체계개발에 들어가지 못했다. KTX­2의 탐색개발이 끝나자 지난해 6월 항공우주산업육성실무위원회는 예산검토에 나섰고 다시 그해 8월 관계장관회의에서 타당성 재검토 지시가 떨어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해 10월부터 올 6월까지 사업성을 재검토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국방부와 항공업계는 그러나 이 사업이 지연되면 KFP사업 등을 통해 구축된 국내항공산업의 기술, 인력, 설비 등이 후속사업으로 연결되지 못해 앞으로 사업을 재추진할 경우 엄청난 인적·물적손실을 감수해야 한다고 주장, 결국 사업재개쪽으로 결론이 난 것이다.<김희중·한상복 기자>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