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실질무역손실의 對GDP 비율 갈수록 악화

무역손실이 실질소득 증가 제약..내수침체 부채질

고유가와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인한 교역조건 악화로 무역손실이 계속 커지면서 가계의 소득증가를 제약, 궁극적으로 내수침체를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중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실 규모는 12조9천993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9조8천294억원에 비해 32.2%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 실질무역손실 규모는 지난해 전체 실질무역 손실액 17조8천573억원의 72.8%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처럼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실이 커지면서 국내총생산(GDP)에 대한무역손실 비율도 갈수록 악화되는 추세다. 지난 1990-97년 GDP에 대한 실질무역손익의 비율은 평균 2.6%를 나타냈으나 1999-2000년에는 1.0%로 감소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은 플러스, 즉 이익이 발생하는 단계였다. 그러나 2002년에는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 손실이 발생함으로 이 비율이 -1.5%로 반전됐으며 2003년에는 -2.7%로 더 떨어졌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3.9%로더욱 악화됐다. 실질무역 손실의 대(對)GDP 비율이 마이너스 상태에서 절대값이 계속 커진다는것은 교역조건 악화로 무역손실이 크게 늘면서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를 제약하는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뜻한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이는 곧 가계의 소비지출 여력을 떨어뜨림으로써 교역조건 악화가 내수침체를조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국제유가가 미국 서부텍사스중질유 기준으로 배럴당 55달러선마저 넘어서는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비철금속과 기초원자재 가격도 다시 급등 움직임을 보이고있다. 따라서 올 하반기 이후에도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무역손실 증대와 그로 인한가계소비지출 여력 저하의 악순환이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