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개인정보 유출 2차피해 첫 발생

시중은행에서 유출된 개인정보가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에 악용된 사실이 확인됐다. 유출된 개인정보가 2차 피해로 이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은행권에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발생한 터라 앞으로 유사 피해사례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9일 서울 강북경찰서는 개인정보를 이용해 저금리 대출로 전환해주겠다고 속여 수천만원을 가로챈 혐의(사기)로 국내 보이스피싱 조직 총책 이모(43)씨 등 4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또 이씨와 함께 텔레마케터 또는 인출책으로 일한 서모(25)씨 등 5명은 불구속 입건됐다.


경찰은 이씨가 지난달 18일부터 2주간 불법 수집한 개인 금융정보로 피해자 10명에게 대출상환 예치금 명목으로 3,700만여원 상당을 가로챈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이씨는 경기도 고양시에서 오피스텔 2채를 빌려 사무실을 차려놓고 직원을 고용한 뒤 중국 인터넷사이트 등을 통해 7,000여건의 개인정보를 모아 범행을 계획했다. 이씨가 수집한 불법 개인정보에는 국내 모 외국계 은행에서 유출된 고객대출 정보 등 1,912건이 포함됐다.

이 은행은 전산망에 저장됐던 2011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출채무 기록이 담긴 고객 1만6,000여명의 정보를 지난해 4월 대출 담당 직원이 외부로 무단 유출해 지난해 말 파문이 일었던 곳이다. 이때 빠져나간 정보가 범행에 이용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또 이씨가 고용한 텔레마케터들은 고금리 대출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만 골라 은행이나 정부가 운영하는 서민지원센터인 것처럼 속여 "저금리 대출로 전환해주겠다"고 했다.

경찰은 금융기관에서 새어나간 개인정보를 악용한 범죄가 확인된 만큼 비슷한 사례가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