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생보사, 보장성 상품 영업 확대

변액보험등 투자형 판매 줄이고 종신·연금보험 비중 늘려

생명보험사들이 올들어 투자형 상품보다는 보장성 상품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경색이 장기간 지속되고 국내 증시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생보사들은 변액보험 등 투자형 상품 판매를 축소하는 대신 종신보험 등 보장성 상품이나 연금보험 판매 비중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교보생명은 현재 보장성 보험 상품의 비중이 60%를 차지하고 있지만 오는 2010년까지 이 비중을 80%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대표적인 보장성보험인 종신보험의 경우 판매 비중을 현재의 25%에서 올해 말까지 35%로 상향 조정한 후 2010년까지는 4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교보생명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투자형 상품이 큰 인기를 끌었지만 보험 본연의 성격을 중시해야 할 때가 됐다”며 “시장흐름에 편승하지 않고 가족보장ㆍ노후보장이라는 보험 고유의 영역에 힘을 쏟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미래에셋생명도 일반보험 영업을 강화하기로 하고 2008년 경영전략에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은 종신보험 및 연금보험 상품을 추가 개발해 판매 비중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지난해 11월의 경우 미래에셋의 월납 초회보험료는 150억원 규모로 이 가운데 변액보험 등 투자형상품이 무려 70%를 차지했다. 미래에셋의 한 관계자는 “변액연금의 경우 주식투자 비중이 30%, 변액유니버설보험(VUL)은 60%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투자형 상품이지만 주식비중이 6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보장성 상품을 늘려 영업기반을 더욱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생명의 경우 지난해 11월 월납 초회보험료 기준 VUL 비중이 3.6%에 불과했다. 지난해 말 VUL 판매를 재개했지만 변동성이 높은 금융환경을 고려해 공격적인 영업을 자제하고 있다. 삼성생명의 한 관계자는 “올해에는 보장성 상품을 위주로 영업전략을 수립했다”며 “VUL의 경우 원금손실에 따른 민원발생 위험이 있는 만큼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완전판매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