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인수급 악화시 북핵문제 두드러져"

굿모닝신한증권은 과거의 사례를 보면 북한과 관련된 위험요인이 돌출된 직후 종합주가지수나 외국인 매매동향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한국관련 해외펀드로의 자금 유입 상황이 시장에 우호적이지 못한상태에서 북한 문제가 떠오를 때 외국인들이 더 민감하게 반응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김학균 굿모닝신한증권 애널리스트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1999년 6월 `연평해전'당시나 지난 2002년 1월의 `악의 축' 발언이 나온 뒤 1~2개월동안 한국관련 해외펀드로의 자금 유입은 정체 상태였는데 종합지수는 각각의 사건 이후 30일동안 6.21%와 12.36% 올랐다. 반면 지난 2002년 6월의 백령도 인근 무력충돌이나 같은해 12월에 있었던 북한의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탈퇴 선언 이후 1~2개월동안 한국관련 펀드에서는 대규모순유출이 발생했으며 종합지수도 개별 사건 이후 1개월간 4.59%와 16.41% 각각 떨어졌다. 김 애널리스트는 "현재 외국인 수급과 관련된 위험요인은 예측이 쉽지 않고 따라서 후행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는 북한 핵문제 자체라기보다는 현재 유동성이 우호적이지 못해 악재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상태라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이머징마켓(GEM) 펀드와 일본 제외 아시아지역 펀드, 태평양지역 펀드,인터내셔널 펀드 등 한국관련 4대 해외펀드에서는 최근 6주동안 5번의 주간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이 기간의 누적 순유출 규모는 30억달러에 이른다. 이어 그는 "중국 위안화 절상 문제나 미국의 소비 위축과 관련된 우려는 진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생각되지만 외국인 매매에 대한 기대치를 높여 잡기는 어려운상태"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