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숨 돌린 STX… Q&A로 본 구조조정 방안

채권단이 ㈜STX의 자율협약에 극적으로 동의한 14일, 남산타워 본관에 햇살이 비치고 있다. 어렵사리 지원안이 통과됐지만 당분간 가시밭길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경제DB

정부가 STX그룹 계열사를 살리기로 하고 채권단이 14일 ㈜STX의 자율협약에 동의, 긴급자금을 지원하면서 STX그룹은 해체 고비를 넘겼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개별 계열사별 처리 방안과 회사채 투자자의 처리 문제다. 유동성 위기의 책임자로 지목되고 있는 강덕수 STX그룹 회장이 어디까지 책임을 질 것인지도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주사인 ㈜STX가 나머지 계열사에 이행보증을 2조원 이상 지고 있고 지주사와 계열사 간 채권ㆍ채무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룹 전체'를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Q: 지주사인 ㈜STX를 살려야 하는 이유는.


지주-자회사 채권·채무 연결… 계열사 다 살려야 그룹 회생


A: 지주사가 법정관리에 가면 법원은 지주사 채권자와 주주 입장에서만 판단한다. 이 때문에 지주사가 계열사의 자율협약이나 정상화에 책임을 질 의무가 없어진다.

또한 ㈜STX는 STX조선해양과 STX팬오션에 2조원 이상의 이행보증을 섰다. 이들 기업에 대출해줬거나 선박을 수주한 거래처는 지주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이행보증이 무산되므로 그만큼의 추가 담보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STX조선해양의 자율협약과 산업은행의 STX팬오션 인수에 차질을 빚는다.

Q: ㈜STX 이외 비주력 계열사 중 자율협약을 배제할 곳은.

법정관리 STX건설 제외 모두 정상화 추진


A: 없다. 구조조정에 들어간 STX건설과 산은이 인수를 추진하는 STX팬오션을 제외하고 다 같이 자율협약에 들어갈 것이다. 그렇게 해야 그룹의 각 계열사가 정상화할 수 있다. STX그룹은 지주사와 계열사는 물론 계열사 간에 채권ㆍ채무 관계가 있다. 그룹의 효율성을 위해 계열사 간 내부거래나 영업망 활용 등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비주력 계열사 역시 주력 계열사를 돕고 있기 때문에 같이 살려야 한다. 다만 해외 조선소 등의 자산을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Q: 강덕수 회장의 경영권은 유지되는가.

부실책임 묻지만 기업회생 위해 유지할듯


A: 강 회장 개인에 대한 부실책임은 반드시 묻는다. 다만 해당 기업 경영의 노하우를 갖고 있으므로 정상화를 위해 강 회장이 경영권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으로 구조조정 성패 여부에 따라 강 회장은 대주주의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

Q: 강 회장의 지분·사재출연 어떻게 되는가.


채권단 지원 대가로 주식 감자요구 가능성


관련기사



A: 강 회장은 자율협약을 신청하면서 자신의 지분을 채권단에 위임했다. 앞으로 실사에 따라 지분가치가 판단되겠지만 전체 그룹의 70%에 해당하므로 상당한 규모로 파악된다. 채권단은 자금지원의 대기로 강 회장의 주식에 대해 감자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감자를 하면 대주주인 강 회장을 포함해 기존 주주의 주식 규모는 줄게 된다. 대신 채권단이 주요주주가 된다. 대주주로서 사재출연을 해야 한다. 다만 현재로서는 강 회장의 정확한 개인 재산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다.

Q: 채권단이 요구한 회사채 투자자의 출자전환은.

시간 촉박·시장 악영향 우려 사실상 불가능


A: 불가능하다. 당장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상황에서 시간이 촉박하다. 또한 전체 회사채 시장이 어려운데 한 곳에서 피해를 보면 시장 전체에 악영향을 끼친다. 채권단이 회사채 만기 전에 지원하기로 했으므로 회사채 투자자의 피해는 없다.

Q: 앞으로 남은 변수는.

실사 후 부실 더 나올땐 자율협약 깨질수도


A: 채권단은 ㈜STX와 포스텍 2개사를 지원하는 것에 반대 목소리가 컸다. 다만 금융당국의 설득을 통해 ㈜STX 지원으로 선회했다. 이 때문에 실제 실사에서 숨겨진 부실이나 예상하지 못한 자금 지원이 나타나면 채권단의 자율협약은 언제든지 깨질 수 있다.

또한 비핵심 계열사 매각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을 수도 있다. 채권단은 매각에 난항을 겪고 있는 STX팬오션을 비롯해 STX에너지 지분을 팔고 나아가 중국ㆍ프랑스ㆍ핀란드에 있는 현지법인(조선소)까지 처분해 돈을 갚으라는 요구를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계열사 매각에 부정적이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