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민속의 기업 사회속의 기업] 인간·자연·문화사랑 솔선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직하게 행동합니다 ” CJ 기업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는 ‘CJ Value’중 ‘정직’에 해당되는 내 용이다. ‘CJ Value’란 직원들의 행동 양식과 사고 패턴의 기준이 되는 틀. ‘불량식품’의 이미지를 무엇보다 우려하는 식품업체로서는 흔치않게 햄과 즉석 식품 등에 대한 리콜을 선포, 솔직한 모습으로 고객 앞에 다가가겠다는 윤리경영을 표방하는 CJ의 보이지 않는 기업 가치의 뼈대를 이루 는 것인 셈이다. CJ의 윤리의식은 보이지 않는 곳, 드러나지 않는 곳에 이익금을 투자하는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서도 실현된다. 인간사랑, 자연사랑, 문화사랑이라는 3대 주제아래 국내최대 물량의 ‘푸드뱅크’ 물품 위탁을 비롯해 결식아동 돕기와 장애아동 가정체험, 독거노 인 돌보기 등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실천하는 봉사활동을 직원들 생활의 일부로 삼고 있는 것. 식품사업이라는 전공분야를 살린 푸드뱅크의 경우 연간 33억원 가량의 물품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전체 푸드뱅크 물량의 42%를 차지하는 것으로,국내 최대의 식품회사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단일기업으로는 가장 많은 물량을 기록하고 있다. 국외에서도 동티모르 지역 난민들을 구호하기 위해 민간기업으로는 유일하 게 UN 평화유지군으로 파병된 상록수부대와 연계해 5차례에 걸쳐 치약, 칫 솔, 비누 등의 생활필수품 18만 여점을 현지민에게 기탁한 바 있다. 특히 CJ의 사회환원활동은 신입사원 등 젊은 직원 위주가 아니라, 임원들이 솔선하여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CJ의 모든 임원들은 연 간 근무시간의 1% 이상을 자발적으로 봉사활동에 할애한다. 지난해의 경우 1,350명의 임직원들이 27개의 정기봉사 프로그램과 30개의 단기봉사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봉사활동을 전개했다. 신동휘 홍보팀장은 “특별히 성문화된 윤리강령과 제도화된 틀 없이도, CJ는 창업 이래 꾸준히 일궈 온 무형의 기업문화 속에 늘 윤리인식을 각인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그동안 CJ㈜ 중심으로 전개돼 온 환원봉사활동을 CJ홈쇼핑 등 각 계열사로 확대, 모든 계열사에서 봉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주5일제 전면시행에 대비해 임직원 주거지역 단위로 주말에 임직원 뿐 아니라 가족 전체가 참여하는 봉사활동을 개발해 운영할 방침. 구체적으로는 올해 푸드뱅크 사업으로 24억원을 기부하고, 나아가 사회적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학술 연구사업도 병행한다. 또 그룹의 사업 인프라를 활용하여 그룹 임직원과 고객의 나눔 참여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한다는 방침아래, 생산물품 뿐만 아니라 CGV, 빕스, 스카이락, 뚜레쥬르 등 서비스산업 브랜드를 불우이웃돕기 목적으로 개방할 계획. CJ 임직원 급여 공제 불우이웃돕기 프로그램인 사랑의 1구좌 사업도 전 그룹사로 확대된다. 이 밖에도 환경단체 및 정부기관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이슈를 선정해 자원을 투입, 새로운 환경 사회공헌 모델을 도입할 예정이다. CJ는 이를 위해 상반기중 사업성 연구를 벌여 하반기에 환경기획 신규사업 을 직접 시행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또 신입사원과 진급자들에 대해 전원사회봉사를 의무적으로 체험토록 할 방침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