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이 동북아 경제협력체 주도해야"

우리나라가 동북아 경제협력체를 중국과 일본에제안하고 이를 구성하기 위한 중재자 역할을 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창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동북아경제협력센터 소장은 8일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 보고서에서 "동북아 경제협력의 중요성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공감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동북아 경제협력의 필요성과 비전에 대한 구상을 제안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북아 경제공동체 형성이 동북아 국가들의 공동번영 뿐 아니라 긴장해소와 평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은 분단상태에있는 우리나라에 가장 절실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동북아 경제협력체 실현을 위해서는 차기 정부의 집권 기간인 2012년까지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하고, 2020년 이전에 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 FTA를 형성함으로써 동북아 경제협력체를 출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FTA에 포함되지 않은 에너지, 철도, 환경 등 모든 경제 이슈를 다루는협의기구인 동북아 경제협의체도 2020년 이전에 만들어져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그는 동북아 경제협력체의 회원국은 동북아 지역에 속한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등이 될 수 있다면서 우선은 각 국이 관심있는 부문별 협의체에참여하게 해 단계적 참여를 지원하는 한편 역외국 중에서도 협력체의 목적에 동의하고 회원으로서 의무를 수행할 국가들은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