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버스 수출확대 발목잡는 현대차 노조

직원들을 추가로 채용해 기존 공장의 가동률과 생산성을 높일 경우 밀려드는 주문물량을 충분히 댈 수 있는데도 노조의 반대로 막대한 돈을 들여 새 공장을 지어야 한다면 그것은 과잉투자다. 그런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수 없으며 그 피해는 궁극적으로 근로자들에게도 돌아간다. 충분히 피할 수 있는, 그리고 피해야만 하는 이런 일이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벌어지고 있으니 딱하다. 현대는 최근 러시아에서 20억달러(1조8,000억여원) 규모의 버스 수출계약을 맺는 등 상용차사업 호조에 따라 전주공장의 2교대 근무제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나 노조가 근로조건 악화를 이유로 반대하는 바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대차는 노조와의 협의가 끝내 안될 경우 다른 곳에 새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새 공장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짓는 게 마땅하다. 문제는 사정이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전주공장은 주야 2교대 근무제로 운영되는 울산ㆍ아산공장과 달리 주간 8시간 근무제로 운영됐으며 잔업도 많지 않다. 그 동안 상용차사업 부문이 상대적으로 부진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연간 10만대 생산능력의 전주공장은 지금 5만대 정도만 생산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노조의 협조만 있으면 생산량을 2배로 늘릴 수 있어 주문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2교대근무가 무산될 경우 납기차질 가능성이 크며 고용확대와 지역경제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현대차는 2교대 근무에 대비해 최근 생산직 직원 700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하고 면접까지 마쳤으나 노조의 반대로 정식 채용을 보류한 상태다. 공장가동률이 높아지고 고용확대가 이뤄지면 지역경제도 활성화된다. 그런데 어렵게 생긴 일자리 수백개가 날아갈 형편인 것이다. 오랫동안 부진을 면치 못하던 사업이 모처럼 활기를 띠며 일감이 늘어나면 환영해야 마땅하지 일을 못하겠다고 거부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극심한 취업난을 뚫고 들어온 신입사원이나 지역경제를 위해서도 노조는 협력적 자세를 보여야 한다. 근무부담 증가는 회사측과 인력조정 등으로 해결하는 것이 옳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