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통 3사, 주파수 싸고 난타전

SKT "2.1GHz 추가할당 필요" KT·LG유플러스 "공정경쟁 어렵다"


이달 말로 예정된 2.1GHz 주파수 경매를 앞두고 이동통신 3사의 '난타전'이 가열되고 있다. 각 사마다 가입자 수당 주파수 용량, 독과점, 가입자 편익 등을 근거로 내세우며"경쟁업체가 해당 주파수 대역을 갖는 건 말도 안 된다"고 주장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현재 자사의 가입자 수에 비해 주어진 주파수 용량이 적다는 이유를 들며 추가 할당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가입자 수가 2,500만명을 넘는 데다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도 250만여명으로 가장 많다"며 "가입자 100만명당 주파수 보유량이 3.5MHz로 가장 적다"고 주장했다. 지난 1년 사이 가입자들의 무선인터넷 이용량이 15배나 증가한 상황에서 추가 주파수가 없으면 가입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이에 대해 맹공을 퍼붓고 있다. KT 관계자는 "SK텔레콤은 이미 지난해 5월 2.1GHz 대역 20MHz를 추가로 할당받았다"며 "SK텔레콤이 또다시 주파수를 할당받으면 공정경쟁이 어렵다"고 밝혔다. 또 SK텔레콤이 KT와 달리 와이브로, 무선랜(와이파이) 등 데이터 트래픽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통신망 구축도 없이 2.1GHz 주파수만 가져가는 걸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지적한다. LG유플러스는 여기에 2.1GHz 주파수를 전혀 갖고 있지 않았다는 절박함이 더해졌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00년 이 주파수를 할당 받았지만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반납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데이터 트래픽 급증을 감당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전세계 통신사업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파수라 이번에 할당받지 못하면 앞으로도 외산 스마트폰을 들여오기 어려워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특히 KT와 LG유플러스는 '주파수 총량제'까지 거론하며 SK텔레콤을 견제하고 있다. 주파수 총량제란 한 사업자가 보유할 수 있는 주파수의 양을 제한하는 제도다. 하지만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주파수 총량제는 해외에서도 폐지되는 추세"라며 반박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는 지난 2003년, 2004년 이동통신 시장이 충분히 성숙했고 총량제가 기술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며 주파수 총량제를 폐지했다. 현재 SK텔레콤과 KT는 각각 60MHzㆍ40MHz씩 2.1GHz 주파수 대역을 보유하고 있다. 이전까지 주파수는 정부에서 할당하는 방식이었지만, 지난해 6월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되면서 경매 방식으로도 분배가 가능하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