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소재부품 기업 3000개 육성

2020년까지 日뛰어넘어 세계4강 목표<br>여수에 화학소재 클러스터도 조성


오는 2020년까지 세계 소재부품 4대 국가로 진입하기 위해 소재부품 전문기업을 3,000개 이상 육성한다. 또 화학소재 분야의 대일 무역역조 개선을 위해 여수 인근에 화학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소재부품산업 정책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소재부품 발전 기본계획(2013∼2016년)'을 발표했다.


우리나라 소재부품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2,534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46%를 차지하고 무역흑자는 910억달러로 전체 무역흑자의 3배에 달한다.

그러나 대일 무역적자 중 소재 비중이 지난 2003년 31%에서 지난해 47%로 늘어난데다 중국의 소재부품 비중이 급증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부는 이에 따라 스마트 표면처리강판, 수송기기용 초경량 소재 등 10대 핵심소재 분야에 2016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2조원을 투입, 조기 상용화를 추진한다. 특히 대일 소재부품 무역적자 가운데 40%를 차지하는 화학소재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여수산업단지와 연계해 화학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소재부품 분야 중소ㆍ중견 전문기업 수를 지난해 2,770개에서 2020년까지 6,000개로 3,000개 이상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소재부품 전문기업은 소재부품 매출 비중이 전체 50% 이상인 기업을 뜻한다.

산업부는 이 밖에 중소ㆍ중견기업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원천특허를 다수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 연구개발(R&D)에 '지식재산권(IP) 책임관리제'를 도입하는 한편 자금 걱정 없이 기술개발 투자를 지속할 수 있도록 '소재전용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소재부품 수출을 지난해 2,534억달러에서 2020년까지 6,500억달러까지 확대하고 일본을 넘어 중국ㆍ독일ㆍ미국과 함께 세계 4대 소재부품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