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 3월 위기설, 어떤 영향 미치나

미국의 경기둔화에 이어 이제는 일본의 3월 위기설이 본격적으로 증권시장을 위협하고 있다.3월 위기설은 최근 일본의 실물경기가 장기침체에 들어가면서 주식시장도 연이어 하락한 것이 일본 금융기관의 부실 위험을 높여 경제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시나리오다. 3월 위기설 여파로 일본증시는 18년만의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엔화의 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국채금리의 안정세로 인해 일본의 제로금리 복귀는 미국경제의 연착륙 여부가 결정되는 하반기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또 혼란을 보이고 있는 정치권의 압력도 변수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본의 3월 위기설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까. 과거의 경우를 살펴보면 일본의 3월 위기설은 우리에게 생소한 것 만은 아니다. 지난 98년3월의 경우 당시 97년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의 급격한 하락세로 폭락장세를 연출했던 국내증시는 국내경기가 회복국면으로 진입하고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이 잇따라 국가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함에 따라 반등국면으로 진입을 시도했다. 그런 상황에서 일본경제의 3월 위기설이 대두되며 달러화대비 엔화가치의 급락으로 국내 수출전선에 막대한 타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의 모라토리엄(지불유예) 선언이 이어지며 전반적인 아시아 국가로부터 선진국의 투자자금이 빠져나가 회복국면에 있던 국내경제는 다시 바닥으로 추락했다. 현재 일본의 경제상황을 당시와 비교했을 때 97년4ㆍ4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있고 엔화는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점에서 유사하다. 또 98년과 마찬가지로 자산가치의 하락에 기인한 자산디플레이션 주도형이라는 점도 공통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정부가 취할 수 있는 대안은 엔화의 평가절하를 통한 수출부양으로 귀결된다. 일본정부는 최근의 엔화약세에 대해 어느 정도 방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의 교역조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최근 한일간 환율의 동조화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물가상승 요인이 늘어나 최근 다소 해소되고 있는 자금시장을 다시 경색시킬 수 있고, 장단기 외채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우리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 일본의 금융기관이 아시아국가에서 자금회수를 시도할 가능성도 높아 국내경제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원화의 약세는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투자자의 투자자금 이탈을 초래할 수도 있어 증권시장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97년 당시 아시아위기가 무역과 자금조달 측면에서 상호연관이 있는 아시아경제의 구조적인 취약성과 기업, 금융부문의 구조조정지연 등으로 파급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당시와 같은 큰 파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로는 외환위기 이후 국내경제는 다른 동남아국가들과는 차별화된 양상을 보여왔으며 국내 금융시스템이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 GDP(국내총생산)성장률과 다른 경제지표도 국내경제가 일본보다 더 안정돼 있어 해외투자자금의 급속한 유출 가능성이 적어 보인다. 또 대일수출비중이 12%로 크지 않다는 점도 파장을 반감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나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해 외환보유가 크게 늘어나 2월말 950억달러에 이르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3월 위기설에 놀라 막연한 공포심을 갖기보다는 위기를 기회로 삼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제일투자신탁증권 리서치센터 권성일 애널리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