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한국 아직은 효의 나라… 간이식 기증자 절반은 아들·딸

서울아산병원 조사

어렵고 힘든 상황 속에서도 혈연공동체이자 운명공동체인 '가족'은 버팀목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아산병원은 어버이날을 앞두고 1990년부터 최근까지 살아 있는 사람의 장기를 이식하는 생체 장기이식 기증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간 기증자의 절반이 넘는 53.1%가 환자의 자녀로 집계됐다고 7일 공개했다. 생체 장기이식은 뇌사자의 장기기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유일한 타개책으로 간ㆍ신장ㆍ췌장이 주요 대상이다.


기증자 분석 결과 총 3,587명의 생체 간 이식 기증자(기증자가 2명인 2대1 간 이식 수술 기증자 734명 포함) 중 절반이 넘는 1,903명(53.1%)이 자녀였다. 다음으로는 형제자매 412명(11.5%), 배우자 224명(6.2%) 등의 순이었다.

자녀 기증자 중에는 아들이 1,386명, 딸이 517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아들이 많은 것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체격이 커 기증할 수 있는 간의 양도 더 많아 기증자로 적합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의 황신(간이식팀) 교수는 "몸에 남을 수도 있는 상처와 수술의 고통에도 사랑하는 부모님이 다시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면 이런 어려움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효자 효녀가 아직 주변에 많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간 이식 환자는 말기 간 질환 및 급성 간부전 등으로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갑작스런 응급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간 이식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때는 간 기증자를 빨리 찾아야 하는데 이때 주저 없이 나서는 게 한국의 자녀라고 황 교수는 전했다.

신장의 경우 2,290건의 생체 기증자 중 형제자매가 924명(40.3%)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배우자 346명(15.1%), 부모 335명(14.6%), 자녀 291명(12.7%) 등의 순이었다. 또 췌장은 18명의 생체 기증자 중 가장 많은 7명(38.9%)의 기증자가 부모였다.

황 교수는 "가끔은 수술대에 올라선 부모 자녀 간 사랑에 가슴이 뭉클해지기도 한다"면서 "특히 평소 무뚝뚝해 보이던 자녀들도 부모의 어려움에 발 벗고 나서는 모습을 보면 우리에게 아직은 효심이 남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