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공은 이제 재계로

재계의 염원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드디어 타결됐다. 재계가 그동안 기회가 있을 때마다 외쳤던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마련된 셈이다. 지난 2일 오후1시를 전후로 방송을 통해 한미 FTA 타결 소식이 전해지자 재계는 기다렸다는 듯 일제히 환영성명을 냈다. 전경련은 “성공적 타결이 양국간 경제적 이익을 증진할 것”이라 했고, 대한상의는 “FTA가 새로운 시장 개척과 교역 증대를 통해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렇듯 재계가 쌍수를 들고 한미 FTA를 지지하는 것은 무역관세 철폐 등으로 자유로운 교역이 가능해져 새로운 사업 기회와 함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돈 벌 기회’가 크게 열린다는 것. 한미 FTA는 분명 재계에는 크나큰 선물이다.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이는 자동차ㆍ섬유 업종을 비롯, 활용하기에 따라 다양한 업종에서 거대시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기자와 만난 대기업 관계자마다 “정말 기쁜 일이 아닐 수 없다”며 흥분된 표정을 감추지 않았다. 재계는 그러나 이번 한미 FTA 타결을 마냥 즐거워만 해서는 안 된다는 걸 알아야 한다. 동시에 무거운 책무를 떠안았기 때문이다. 우선 한미 FTA를 해야 한다며 제시했던 국가 경제의 부흥과 투자ㆍ고용 확대 등이 단지 구호가 아니었음을 보여줘야 한다. 만약 단지 몇몇 업종과 대기업의 ‘그들만의 잔치’로만 한미 FTA가 귀결된다면 많은 국민들이 실망할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이번 한미 FTA 타결에 따라 피해가 예상되는 농업 등 취약 업종과 중소기업에 대한 재계의 합심된 지원은 필수다. 한미 FTA로 가장 큰 이득을 보는 산업계가 나서서 농업 등 취약 업종과 중소기업의 구조조정과 생존을 도와야 한다. 재계도 이 같은 상생협력의 의무감을 충분히 느끼고 있다. 3일 한미FTA민간대책위원회는 “산업계는 한미 FTA가 국민소득과 고용 증대, 우리 경제의 글로벌화를 통한 선진국 진입의 계기가 되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마침 진통 끝에 재계는 조석래 효성 회장을 신임 전경련 회장으로 추대, 적극적인 활동에 나설 것을 대내외에 천명해놓은 상태다. 이번 한미 FTA는 그동안 실추됐던 전경련의 위상과 역할을 되살릴 절호의 기회다. 재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한미 FTA 활용ㆍ지원 방안이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