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질병따른 사회적손실 7조6천억

입원·결근등 소득기회상실분 GDP의 1.7%각종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연간 7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보건복지부 산하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각종 질병으로 인한 입원, 결근, 조퇴 등에서 파생되는 국민의 소득기회 상실분(생산액 손실)은 연간 7조6,233억원으로 GDP(국내총생산)의 1.7% 규모로 추정됐다. 질병별로는 요통ㆍ좌골통ㆍ디스크가 1조3,072억원으로 손실액이 가장 컸고 그 다음은 ▦관절염 1조1,333억원 ▦각종 사고 부상 1조733억원 ▦뇌혈관 질환 6,163억원 ▦정신장애 4,239억원 ▦고혈압 2,920억원 ▦암 2,414억원 ▦당뇨 2,160억원 순이었다. 이와 함께 의료기관 이동 및 대기, 간호 등에 소요되는 간접 기회비용까지 감안하면 질병으로 인한 생산액 손실은 GDP의 3%인 13조4,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같은 생산액 손실은 국민들이 질병 치료에 쓰는 직접 의료비용(연간 GDP 5% 추산)의 60%에 해당된다. 또 국민 100명 중 56명이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이는 지난 95년의 2배에 가까운 것이다. 질환별는 치아우식증(충치) 유병률이 15.8%로 가장 높아 우리 국민들에게 가장 흔한 만성 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피부병 15.4% ▦관절염 7.4% ▦요통ㆍ좌골통 5.8% ▦위염ㆍ소화성궤양 5.8% ▦고혈압 4.2% ▦치주질환 및 치경부마모증 3.1% ▦치질ㆍ치핵 2.7% ▦당뇨2.2% ▦축농증 2.1% 순이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